|
◈ 내 자료 추천
|
|
|
2024.05.08
|
|
|
|
삼팔선으로 분단된 금수강산에도 봄이 찾아오니 남한에 몸을 둔 우리들의 감회는 자못 착찹함을 금할 수 없다. 북한에 의해 우리의 많은 문화재는 어찌 되었으며, 특히 불교의 많은 사암(寺庵)은 어찌 되어 있는지? 이제 북한의 유명한 사암(寺庵)을 지상(紙上)으로나마 순례(巡禮), 언젠가는 되찾아야 할 그리운 북녘땅에 우리들의 마음과 몸을 쉬게 하여. 통일된 조
|
|
|
|
(2|0) |
|
2024.04.07
|
|
|
|
유네스코 세계유산 ‘ATLAS BLAEU-VAN DER HEM’ 지도의 기원은 아주 오래되었다. 고대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사람들은 홍수에 범람하지 않은 땅의 경계를 그림으로 그렸다.
|
|
|
|
(0|0) |
|
2024.04.05
|
|
|
|
이익태의《지영록(知瀛錄)》 바다를 항해하려면 노련한 뱃사람의 오랜 경험과 튼튼한 배, 그리고 하늘에 대한 간절한 믿음이 있어야 배에 오를 수가 있었다. 오늘날에 제주도에 갈 때는 김포공항에서 비행기로 1시간이면 쉽게 갈 수 있지만, 당시는 한양 도성에서 제주도 화북포구까지 가려면 족히 두 달 이상이 걸렸으니 참으로 먼 길이었다.
|
|
|
|
(0|0) |
|
2024.04.03
|
|
|
|
전남 고흥 발포항과 충무사 장보고글로벌재단에서 주최한 ‘세계인 장보고의 글로벌정신과 전남 미래발전방안’ 연구를 위해 1박 2일 워크숍에 참가하여 진남관 전시관과 이순신 자당기거지, 오충사 사당을 관람하고 1시간 30분 걸리는 고흥반도 발포진 유적지를 방문하려고 버스에 올랐다.
|
|
|
|
(0|0) |
|
◈ 조회순
|
|
2024.07.22
|
|
|
【문화】
맹산읍(孟山邑)에서 북으로 올라가는 국도(國道)를 따라서 영원군(寧遠郡)으로 들어간다. 영원군(寧遠郡)에 있는 사찰(寺刹)로는 영원면(寧遠面)에 월굴암(月窟庵), 운흥사(雲興寺)가 있고, 다시 좀 북동쪽으로 덕화면(德化面)에 은적암(隱寂庵), 오운암(五雲庵)이 있으며, 영락면(永樂面)에 삼덕암(三德庵)과 운상암(雲祥庵)이 있고, 더 올라가서 성룡면(成龍面)에 성룡사(成龍寺)가 있다.
|
|
|
|
2025.06.19
|
|
|
【문화】
다롄 춘화원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 대원들은 뤼순 감옥(旅順日俄監獄博物館)의 전시실과 교형장을 견학하고 버스에 올랐다. 전쟁의 피해나 죽음, 슬픔을 대상으로 한 관광을 현대에서는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이라 부른다.
|
|
|
|
2024.06.22
|
|
|
【문화】
1) 홍승한(洪承漢) 목사, 선교사 - 1917년 순행 / 호는 온암(溫庵)이며, 평북 의주에서 1881년에 출생하여 일찍이 교인이 되었고, 신학문의 전당인 숭실대학에서 공부한 뒤 교원생활을 하였다. 1907년부터 평북 철산군에서 조사로 활동하던 중 1908년 방효원 목사의 여동생 방승희와 결혼하였으며, 1909년 철산군 백량면 영동(嶺洞)교회의 초대장로가 되었다.
|
35 (+13) | |
|
|
2025.06.09
|
|
|
【문화】
뤼순 감옥 타고지로(田子仁郞) 소장
중국 랴오닝성 다렌 시에 있는 뤼순 감옥은 11개국의 항일 독립투사들과 많은 중국인이 갇혀 고문 받고 신음하며 고통 속에 살다 병사하거나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 감옥의 마지막 형무소장인 타고지로(田子仁郞, 다쯔런랑)는 일본제국이 항복하기 전날 밤에 감옥의 자료와 중요한 서류를 소각하도록 지시하고 범죄의 증거를 훼손했다.
|
|
|
|
2025.06.07
|
|
|
【문화】
다렌 뤼순 감옥 견학기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중국 다렌국제공항에 내려 연암 박지원이 걸었던 사행길이 시작되는 곳인 단둥시로 가기 전에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이 뤼순 감옥이다. 이 감옥은 일본 제국이 직접 운영하다 1932년부터는 일본 제국이 괴뢰국으로 세운 만주국에서 운영했다.
|
|
|
|
2025.06.09
|
|
|
【문화】
조선 사신 중국 사행록
조선왕조의 사신 일행은 육로로 개성, 평양, 정주, 곽산으로 올라갔다. 1621년에 후금의 누르하치가 요동을 점령하는 바람에 사신들은 바닷가로 향해 가도, 녹도, 등주 바닷길을 이용했다. 사신은 한양을 출발한 지 12일 만에 안주(安州)에 도착해 백상루(百祥樓)에서 잤다.
|
|
|
|
2025.04.13
|
|
|
【문화】
고산자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 소재구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학예연구관은 연구심이 남달라 퇴근 시간이 지나서도 밤늦게까지 남아 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유물을 들여다보고 목록을 조사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은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1909년 지은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 송석하 선생이 지은 남산 국립민족박물관의 소장품을 모두 합친 것으로 1946년에 덕수궁 석조전 건물에서 처음 개관하였다.
|
|
|
|
2025.05.14
|
|
|
【문화】
조지 클래이튼 포크 공사의 조선 사랑과 이별
청나라 주재 미국 프데드릭 퍼디넌드 로우(1826~1894) 공사는 1871년 5월 30일 조선 관리에게 6월 1일 강화해협을 탐측한다고 통보하고 조선 사행 임무를 밝혔다. 이후 미 수병은 손돌목돈대 포격 사건을 벌이고 협상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곧 협상은 결렬되고 6월 10일 상륙작전을 개시해 강화도 초지진, 덕진진, 광성보에서 교전했다.
|
|
|
◈ 최근등록순
|
|
2025.07.26
|
|
|
【문화】
광녕성(廣寧城) 축제
베이전(北鎭) 시의 진산(鎭山)인 의무려산(867m)을 황제가 광녕공(廣寧公)으로 봉하여 금에서 청 말기까지는 도시를 광녕이라고 불렀다. 1913년에 후난성(湖南省)의 광녕현과 지명이 같아 개칭되었다.
|
|
|
|
2025.07.25
|
|
【문화】
북진묘
《열하일기》 답사단을 태운 관광버스는 신민(新民) 팔기군 유적지를 구경하고 베이전(北鎭) 시로 향했다. 안 대장과 가이드는 해가 서쪽으로 저물어 시내 외곽에 있는 북진묘(北鎭廟)를 먼저 갔다가 광녕성을 방문한다고 일정을 알려주었다.
|
|
|
|
2025.07.23
|
|
|
【문화】
2025 세계유산 - 인도 마라타 군사 경관
인도 마라타(1674~1818) 군사 건축물 유적(Maratha Military Architecture)은 살아있는 유산, 건축적 우수성, 깊은 역사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문화적 기준에 따라 202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
|
|
2025.07.22
|
|
|
【문화】
허란산 암각화
허란산 국가삼림공원(宁夏贺兰山国家森林公园) 안에 있는 허란산(賀蘭山) 암각화는 1만 년 전부터 3,000년까지 고대 인류의 방목, 사냥, 제사, 전투, 오락, 사교, 생산, 생활 장면 등을 기록하여 고대 인류의 문화사와 원시 예술사를 보여주는 문화 보고이다.
|
|
|
|
2025.07.20
|
|
|
【문화】
그라프 추 카스텔의 《중국 비행》
카스텔-뤼덴하우젠의 울프-디에터 백작(Graf zu Castell, Wulf-Diether Count of Castell-Rüdenhausen 1905~1980)은 1905년 독일 베를린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마르크 브란덴부르크의 니에슐리츠 호수에 있는 실레센 성에서 성장했다.
|
|
|
|
2025.07.18
|
|
|
【문화】
닝샤(寧夏) 시샤 황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025년 7월 11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개최된 제47차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는 11~13세기에 건립한 중국 닝샤 회족(回族)자치구 인촨시 서하의 황제릉(Xixia Imperial Tombs, 西夏陵, 西夏皇陵, 西夏帝陵)을 세계유산으로 인준하였다.
|
|
|
|
2025.07.15
|
|
|
【문화】
2025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
2025년 7월 6일부터 16일까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개최되었다. 올해는 대한민국의 반구대 암각화와 북한의 금강산을 포함하여 26건이 세계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세계유산은 총 1,248건이며, 문화유산 872건, 자연유산 235건, 복합유산 41건이 되었다.
|
|
|
|
2025.07.14
|
|
|
【문화】
또 한 명의 충무공, 정충신
2019년 7월 4일부터 7일까지 국립 제주대학교에서 개최된 제10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2분과 ‘고려의 해양문화’에 참가하여 〈운주사(運舟寺) 석불·석탑 군에 숨겨진 역사〉를 발표하였다. 6일 답사 날에는 제주 화북 환해장성를 구경하고 연북정에 올라 바다를 바라보았다.
|
|
|
|
2025.07.13
|
|
|
【문화】
청나라 팔기제를 조선 국왕에게 알린 정충신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아침 식사를 마치고 짐을 챙겨 관광버스에 오르면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중국 자료집 〈닫힌 세상에서 열린 세상으로 나아가는 여정 문명의 보고서〉를 꺼내 일정과 방문지를 확인하고 자료집의 글을 한 사람씩 읽는다. 버스 중간 줄에 앉은 김완숙 대원 차례가 되었다.
|
|
|
|
2025.07.11
|
|
|
【문화】
소백기와 팔기제도
만주에서 여진족 족장의 아들로 태어난 누르하치(Nurhaci, 努爾哈赤, 1559~1626), 아이신 기오로(Aisin gioro, 愛新覺羅)는 랴오닝성(遼寧) 新賓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적부터 활쏘기와 말타기를 좋아하고 무예가 뛰어났다.
|
|
|
|
2025.07.08
|
|
|
【문화】
2025년은 청해진 국가유산 지정 40주년 되는 해로 완도군은 6월 26일부터 3일간 완도에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했다. 행사에 참석한 한국, 중국, 일본의 승려들은 글로벌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정부는 완도 청해진을 설치한 날을 기념해 1994년 5월 31일을 바다의 날로 정했다. 3년 후인 2028년은 장보고 대사가 청해진을 건설한 지 1,200주년이 되는 해다.
|
|
|
|
2025.07.07
|
|
|
【문화】
영안교
《열하일기》 답사단은 연암이 지나간 선양의 영안교(永安橋)를 방문하지 않았다. 연암은 1780년 7월 12일 무자일에 선양(瀋陽)에서 출발하여 영안촌 포항에 있는 길이 37m, 폭 8.9m의 영안교(永安橋)를 거쳐 흥륭점을 지나 85리를 가서 고가자(孤家子)에서 머물고,
|
|
|
|
2025.07.07
|
|
|
【문화】
거류하를 가다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은 선양 고궁과 장학량(張學良) 자택을 관람하고 버스에 올라 선양시 북서쪽에 있는 신민 시로 향했다. 버스를 타고 가면서 바라본 들판은 정말 광활했다. 텅 비어 있는 평화로운 땅에 자꾸 눈길이 가서 계속 밖을 바라보았다.
|
|
|
|
2025.07.04
|
|
|
【문화】
랴오닝성의 성도인 선양시에서 불과 2시간 거리에 흥성고성이 있다. 이 성은 조선 사신이 남긴 자료가 많다. 성벽의 높이는 8.8m이고, 길이가 3.2km이다. 연암 일행은 고성 밖에서 자고 7월 19일 을미일에 성안에 들어와 조씨 패방을 보았다.
|
|
|
|
2025.07.04
|
|
|
【문화】
中, 정조 때 있었던 '원훈초석' 그대로... 조대수 패방과 이흘(李忔)
흥성고성을 방문하고 조씨 형제 패방에 대해 본격적으로 자료들을 보기 시작했다. 선양대학교 바이센 교수는 2023년 9월에 발표한 논문 〈랴오닝성 조대수 석패방의 석각 인물 그림 고찰〉에서 “조대수는 조선 사신과 왕래가 잦았고, 패방에 등장하는 인물 12명 중 최소 3점은 조선 사신과 깊은 관련이 있다.”라고 주장했다.
|
|
|
|
2025.07.02
|
|
|
【문화】
조대수 무덤과 캐나다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
명나라의 오랜 관습은 아버지가 하던 일을 그대로 승계받는 것이다. 조대수(祖大壽)는 아버지의 군대를 물려받아 군문에서 근무하며 친족이 아닌 측근 장군들로 구성된 조가장(祖家將)이라는 군사 조직을 운영했다.
|
|
|
|
2025.07.02
|
|
|
【문화】
흥성고성 조씨 석패방
흥성고성 북쪽의 위원문과 서쪽의 영녕문을 멀리서 바라보았다. 성황묘를 방문하려다 거리가 멀어 포기하고 남쪽 길 보행거리를 걸었다. 남쪽 길은 동쪽 춘화문 거리 점포와는 다르게 상점이 문을 열고 관광객을 반갑게 맞이했다.
|
|
|
|
2025.07.01
|
|
|
【문화】
장편소설, TV 드라마 《원숭환》
중국문화예술계연합회 제11회 전국 대표 회의가 2016년 11월 30일 베이징에서 개막되었다.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은 “문장의 운명은 국가의 운명과 늘 함께하고, 문맥은 국가의 맥락과 같아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역설했다.
|
|
|
|
2025.07.01
|
|
|
【문화】
경략 원숭환(袁崇煥)과 영원대첩(寧遠大捷)
중국 동북지역에서 크게 세를 펼치던 후금(後金)의 누르하치(努爾哈赤, 天明帝, 청태조, 1559~1626)는 당시 요동을 지배하였던 고려인 출신 요동총병관 이성량(李成梁, 1526~1615)의 지배 속에 후원을 받고 성장했다.
|
|
|
|
2025.07.01
|
|
|
【문화】
中 4대 고성인 랴오닝성 흥성고성 방문기
관광버스는 랴오닝성(遼寧省) 흥성고성(興城古城, 兴城古城, 영원위) 주차장에 도착했다. 이 고성을 방문한 것은 연암 박지원 일행이 건륭 45년(1780) 7월 19일 여름에 베이징으로 가는 길에 고성 밖에서 하루를 묵었기 때문이다.
|
|
|
|
◈ 원문∙전문 추천
|
|
|
|
박시순(朴始淳) |
【을미년(1895) 7월 ~ 정유년(1897) 2월】 7월 29일 ○ 내공방(內工房)의 엄제홍(嚴濟洪)이 소장을 올렸다. 새로 마련된 임료(任聊) 300냥을 내외공방(內外工房)에서 나누어 가지겠다는 것이었다. [題內] 희료(餼料; 給料 혹은 俸給)의 분배는 반드시 해당 관청에서 확실하게 정하는 것이다.
|
|
라인수 (8)
|
|
(0) |
|
|
미상 / 최남선 |
또 〈南墅閒去錄[남서한거록]〉에, 蘇東坡[소동파]가 일찌기 이야기하기를, 그 조부 光祿[광록] 벼슬한 이가 말하되, 一[일]서생이 낮에 앉아 있자니까, 簷下(첨하)에서 大蜂[대봉]이 蛛網(주망)에 걸려 서로 한참 쏘고 싸우더니 한참 만에 둘이 다 땅에 떨어지거늘 일어나서 보니, 어느 사이에 화하여 小石[소석]이 되었는지라, 書生[서생]이 기이히 여겨 집어서 衣帶[의대] 중에 넣었었다.
|
|
라인수 (12)
|
|
(0) |
|
|
1946 / 김동인 |
딱한 일이었다.
칠십 줄에 든 늙은 아버지, 그렇지 않아도 인생으로서의 근력이, 줄어들어 갈 연치에, 본시부터 허약하던 몸에다가 또한 일생을 통하여 빈곤하게 살기 때문에, 몸에 적축되었던 영양이 없는 탓인지, 근래 눈에 뜨이게 못 되어 가는 아버지의 신체 상태가, 자식된 도리로서 근심이 여간이 아니던 차인데, 게다가 엎친 데 덮친다고 군졸에 뽑히다니.
|
|
라인수 (104)
|
|
(0) |
|
|
미상 / 윤백남 |
손생원(孫生員)은 난생 처음 어려운 길을 걷는 것이었다. 서울을 떠난지 이미 열흘이 지났건만 아직도 강원도(江原道)땅을 벗어 나지 못하였다. 뜨거운 염천이라 한 낮에 걷는 거리란 불과 몇 십리에 지나지 못하는데다가 나날이 기진역진 하여 가는 것이 현저히 나타나는 것이었다. 더구나 길이 험하고 자갈 많은 강원도 산 길은 그에게 여간 고생이 되지 않는 것이었다.
|
|
라인수 (233)
|
|
(0) |
|
|
◈ 외부 자료 추천
|
|
|
2024.02.19
|
|
|
|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오는 23일 오후 2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체육관(충남 부여군)에서 개최되는 2023학년도 학위수여식에서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최유현 보유자에게 개교 이래 최초로 명예미술학박사 학위를 수여한다.【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무과】
|
|
|
|
(0|0) |
|
2024.02.19
|
|
|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영월 분덕재동굴」과 「영광 불갑사 산지 일원」을 각각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 명승으로 지정하고, 「고흥 팔영산」을 명승으로 지정예고 하였다.【천연기념물과】
|
|
|
|
(0|0) |
|
2023.11.06
|
|
|
|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김규동)과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직무대리 노명구)은 특별전 ‘나무에 새긴 마음, 조선 현판(2023.11.7.~2023.2.12.)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경운궁 현판, 대안문 현판, 이광사가 쓴 연려실 현판 등 105건 114점을 선보인다. (보물 1건, 원행을묘정리의궤) 【학예연구실】
|
|
|
|
(0|0) |
|
|
|
|
|
|
(0|0) |
|
|
|
|
|
|
|
▣ 지식창고
|
▶ 공개자료실
|
|
|
|
|
(A) 내 지식자료
|
Ο 다큐먼트작업
|
|
|
|
|
|
|
|
|
|
|
|
|
about 궁인창의 지식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