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열하일기(熱河日記)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열하일기 (熱河日記)
조선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기행문집. 정조 4년(1780년)에 청나라에 축하 사절로 가는 종형 박명원을 따라 가는 도중 열하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의 명사들과 벗하면서 보고 들은 바를 기록한 것이다. 당시 중국의 사정과 서양의 새로운 학문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에는 《허생전》 《양반전》 《호질》 등의 단편 소설도 실려 있다.
열하일기 (熱河日記) 조선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기행문집. 정조 4년(1780년)에 청나라에 축하 사절로 가는 종형 박명원을 따라 가는 도중 열하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지금의 베이징)의 명사들과 벗하면서 보고 들은 바를 기록한 것 당시 중국의 사정과 서양의 새로운 학문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에는 『허생전』 『양반전』 『호질』 등의 단편 소설도 실려 있다.
◈ 지식지도 관계
열하일기 (熱河日記) 1780 고대 소설 (古代小說) 북학파 (北學派) 실학 (實學) 한문 소설 1780년 1725 박명원 (朴明源) 1737 박지원 (朴趾源) 1683 박사정 (朴師正) 1703 박사유 (朴師愈) 1741 이덕무 (李德懋) 1749 유득공 (柳得恭) 1750 박제가 (朴齊家) 1754 이서구 (李書九) 1780 박종채 (朴宗采) 1807 박규수 (朴珪壽) 1821 박선수 (朴瑄壽) 양반전 (兩班傳) 허생전 (許生傳) 호질 (虎叱) 연암집 (燕巖集) 과농소초 (課農小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열하일기 熱河日記 고전 수필 박지원 (511)
◈ 참조 원문/전문
호질 虎叱 고전 소설 박지원(朴趾源) (947) 허생전 許生傳 고전 소설 박지원(朴趾源) (900)
◈ 조회순
2025.06.19
【열하일기 6】중국 인구 대폭 늘어난 원인, 명 황무지 고구마 덕분...산, 육지, 바다 진미 48개 만한전석 요리 놀라워
【문화】 다롄 춘화원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 대원들은 뤼순 감옥(旅順日俄監獄博物館)의 전시실과 교형장을 견학하고 버스에 올랐다. 전쟁의 피해나 죽음, 슬픔을 대상으로 한 관광을 현대에서는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이라 부른다.
2025.06.09
【열하일기 4】천황 항복 선언 후 항일독립투사 5명 처형... 감옥 중요 서류 소각도
【문화】 뤼순 감옥 타고지로(田子仁郞) 소장 중국 랴오닝성 다렌 시에 있는 뤼순 감옥은 11개국의 항일 독립투사들과 많은 중국인이 갇혀 고문 받고 신음하며 고통 속에 살다 병사하거나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 감옥의 마지막 형무소장인 타고지로(田子仁郞, 다쯔런랑)는 일본제국이 항복하기 전날 밤에 감옥의 자료와 중요한 서류를 소각하도록 지시하고 범죄의 증거를 훼손했다.
2025.06.07
【열하일기 2】11개국 항일투쟁가 2천명 수감...안중근 유해 발굴 노력했으나 못찾아
【문화】 다렌 뤼순 감옥 견학기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중국 다렌국제공항에 내려 연암 박지원이 걸었던 사행길이 시작되는 곳인 단둥시로 가기 전에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이 뤼순 감옥이다. 이 감옥은 일본 제국이 직접 운영하다 1932년부터는 일본 제국이 괴뢰국으로 세운 만주국에서 운영했다.
2025.06.09
【열하일기 5】후금 누르하치 요동 점령 바람에 조선 사신들 바닷가로 가도~녹도~등주 이용
【문화】 조선 사신 중국 사행록 조선왕조의 사신 일행은 육로로 개성, 평양, 정주, 곽산으로 올라갔다. 1621년에 후금의 누르하치가 요동을 점령하는 바람에 사신들은 바닷가로 향해 가도, 녹도, 등주 바닷길을 이용했다. 사신은 한양을 출발한 지 12일 만에 안주(安州)에 도착해 백상루(百祥樓)에서 잤다.
2025.06.23
【열하일기 8】수-당과 치열한 전쟁 수행 지역...김구,유상근 최흥식 한인애국단원 지휘해 잠입 중 발각
【문화】 五二四 다롄 기차역 폭발사건 고구려 비사성을 지나가며 고구려가 수, 당과 치열하게 전쟁을 수행했던 당시를 회상하였다. 버스는 허강시와 다롄시를 잇는 G11(1,390km) 鶴大高速道路에 접어들어 오전에 방문한 뤼순 감옥박물관에서 나온 ‘다롄 기차역 폭발 미수 사건(五二四大连未遂爆炸案)’ 원문 기록을 읽었다.
2025.06.05
【열하일기 1】박지원 열하일기 코스를 240년만에 답사하며
【문화】 여행 가방이 바뀌었어요! (1) 화사한 봄날에 고(옛)조선유적답사회가 주관하는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에 참여했다. 이번 여행은 240여 년 전 연암 박지원이 건륭제 70세 탄신 축하사절의 일원인 자제 군관으로 뽑혀 걸었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여행이다.
2025.06.20
【열하일기 7】고구려 정복 목적 수나라 대운하 건설, ...요동반도에 고구려 방어 산성 73개 축조
【문화】 고구려 비사성 《열하일기》 답사단을 실은 버스는 다롄 도심을 벗어나 고구려 비사성(卑沙城)으로 가는 산길로 들어섰다. 그런데 도로가 좁고 길이 구불구불했다. 휴일이라 산으로 놀러 가는 차량이 많은 탓에 혼잡했다. 대흑산(663.1m)을 차장으로 바라보니 정말 산이 웅장하게 보였다.
2025.06.08
【열하일기 3】남쪽에 수나라 30만 대군 쳐부순 을지문덕 장군 전승비 세워져
【문화】 평안도 안주산성 백상루 평안도라는 지명은 평양과 안주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안주는 고구려 때는 식성이라 불렀고, 고려초에는 팽원이라 하다가 12세기 중엽부터 안주라 하였다.
 
◈ 최근등록순
2025.07.02
【열하일기 15】요서 지역 조씨 가족 4대, 랴오닝지역 진압 업적 칭송위해 2개 패방 설치
【문화】 흥성고성 조씨 석패방 흥성고성 북쪽의 위원문과 서쪽의 영녕문을 멀리서 바라보았다. 성황묘를 방문하려다 거리가 멀어 포기하고 남쪽 길 보행거리를 걸었다. 남쪽 길은 동쪽 춘화문 거리 점포와는 다르게 상점이 문을 열고 관광객을 반갑게 맞이했다.
2025.07.01
【열하일기 14】2년간 현지 전투지역 답사해 46부작 제작... 청나라와 항쟁한 명장 이야기 다뤄
【문화】 장편소설, TV 드라마 《원숭환》 중국문화예술계연합회 제11회 전국 대표 회의가 2016년 11월 30일 베이징에서 개막되었다.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은 “문장의 운명은 국가의 운명과 늘 함께하고, 문맥은 국가의 맥락과 같아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역설했다.
2025.07.01
【열하일기 13】누르하치 20만 대군, 영원성 공격했으나 수차례 패퇴...많은 전공세웠으나 고자질로 헐뚣겨
【문화】 경략 원숭환(袁崇煥)과 영원대첩(寧遠大捷) 중국 동북지역에서 크게 세를 펼치던 후금(後金)의 누르하치(努爾哈赤, 天明帝, 청태조, 1559~1626)는 당시 요동을 지배하였던 고려인 출신 요동총병관 이성량(李成梁, 1526~1615)의 지배 속에 후원을 받고 성장했다.
2025.07.01
【열하일기 12】요서에서 중원으로 가는 교통의 요충지...관외 방어목적으로 성 축성
【문화】 中 4대 고성인 랴오닝성 흥성고성 방문기 관광버스는 랴오닝성(遼寧省) 흥성고성(興城古城, 兴城古城, 영원위) 주차장에 도착했다. 이 고성을 방문한 것은 연암 박지원 일행이 건륭 45년(1780) 7월 19일 여름에 베이징으로 가는 길에 고성 밖에서 하루를 묵었기 때문이다.
2025.06.25
【열하일기 11】만주·몽골·한문 등 3개어 새긴 비문,.수차례 버려졌다 다시 세워져...굴욕의 교훈으로 사적 101호 지정
【문화】 삼전도비 건립 조선 조정은 신익성의 병환을 급히 협의하여 제액은 예조참판 여이징이 쓰게 하였다. 밤을 새워가면서 6월 27일에 간신히 제액이 완성되었다. 이제 문제는 돌에 새기는 일만 남았다. 좁은 공간에 여러 글자로 나누어 쓰려고 하니 작업이 더욱 느려졌다.
2025.06.25
【열하일기 10】명, 원병 요청해 강홍립 도원수 1만 3천명 파병...부차전투에서 명군 1만명과 조선군 8천명 몰살
【문화】 후금 홍타이지의 조선 침략 《열하일기》 답사를 떠나기 전에 조선과 명, 청에 대한 외교사, 전쟁사를 공부했다. 열하일기 답사를 떠나기 전에 조선과 명, 청에 대한 외교사, 전쟁사를 공부했다. 여진족을 통일한 누르하치는 1616년에 황제가 되어 국호를 금(金)이라 정하였다. 명나라는 광해군 10년(1618)에 요동을 침범한 후금을 토벌할 때 조선에 원병을 요청했다.
2025.06.23
【열하일기 9】개혁개방 후 동북 전략적 중심지 부상해 ‘북방의 홍콩’ 불러...조선업과 패션 산업 발전
【문화】 황금평으로 가는 길 비사성을 출발한 관광버스는 동네 과수원을 지나 진푸(金普)신구 도심을 통과하여 단둥으로 가는 G11 고속도로에 들어섰다. 유리창에 멋진 바다가 보여 도저히 눈을 감고 잠을 청할 수가 없었다. 다롄은 중국에서 가장 긴 2,211km 해안선이 있어 푸른 바다를 보다가 식당에서 가져온 다롄 신문을 보았다.
2025.06.23
【열하일기 8】수-당과 치열한 전쟁 수행 지역...김구,유상근 최흥식 한인애국단원 지휘해 잠입 중 발각
【문화】 五二四 다롄 기차역 폭발사건 고구려 비사성을 지나가며 고구려가 수, 당과 치열하게 전쟁을 수행했던 당시를 회상하였다. 버스는 허강시와 다롄시를 잇는 G11(1,390km) 鶴大高速道路에 접어들어 오전에 방문한 뤼순 감옥박물관에서 나온 ‘다롄 기차역 폭발 미수 사건(五二四大连未遂爆炸案)’ 원문 기록을 읽었다.
2025.06.20
【열하일기 7】고구려 정복 목적 수나라 대운하 건설, ...요동반도에 고구려 방어 산성 73개 축조
【문화】 고구려 비사성 《열하일기》 답사단을 실은 버스는 다롄 도심을 벗어나 고구려 비사성(卑沙城)으로 가는 산길로 들어섰다. 그런데 도로가 좁고 길이 구불구불했다. 휴일이라 산으로 놀러 가는 차량이 많은 탓에 혼잡했다. 대흑산(663.1m)을 차장으로 바라보니 정말 산이 웅장하게 보였다.
2025.06.19
【열하일기 6】중국 인구 대폭 늘어난 원인, 명 황무지 고구마 덕분...산, 육지, 바다 진미 48개 만한전석 요리 놀라워
【문화】 다롄 춘화원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 대원들은 뤼순 감옥(旅順日俄監獄博物館)의 전시실과 교형장을 견학하고 버스에 올랐다. 전쟁의 피해나 죽음, 슬픔을 대상으로 한 관광을 현대에서는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이라 부른다.
2025.06.09
【열하일기 5】후금 누르하치 요동 점령 바람에 조선 사신들 바닷가로 가도~녹도~등주 이용
【문화】 조선 사신 중국 사행록 조선왕조의 사신 일행은 육로로 개성, 평양, 정주, 곽산으로 올라갔다. 1621년에 후금의 누르하치가 요동을 점령하는 바람에 사신들은 바닷가로 향해 가도, 녹도, 등주 바닷길을 이용했다. 사신은 한양을 출발한 지 12일 만에 안주(安州)에 도착해 백상루(百祥樓)에서 잤다.
2025.06.09
【열하일기 4】천황 항복 선언 후 항일독립투사 5명 처형... 감옥 중요 서류 소각도
【문화】 뤼순 감옥 타고지로(田子仁郞) 소장 중국 랴오닝성 다렌 시에 있는 뤼순 감옥은 11개국의 항일 독립투사들과 많은 중국인이 갇혀 고문 받고 신음하며 고통 속에 살다 병사하거나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이 감옥의 마지막 형무소장인 타고지로(田子仁郞, 다쯔런랑)는 일본제국이 항복하기 전날 밤에 감옥의 자료와 중요한 서류를 소각하도록 지시하고 범죄의 증거를 훼손했다.
2025.06.08
【열하일기 3】남쪽에 수나라 30만 대군 쳐부순 을지문덕 장군 전승비 세워져
【문화】 평안도 안주산성 백상루 평안도라는 지명은 평양과 안주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안주는 고구려 때는 식성이라 불렀고, 고려초에는 팽원이라 하다가 12세기 중엽부터 안주라 하였다.
2025.06.07
【열하일기 2】11개국 항일투쟁가 2천명 수감...안중근 유해 발굴 노력했으나 못찾아
【문화】 다렌 뤼순 감옥 견학기 《열하일기》 답사 대원들이 중국 다렌국제공항에 내려 연암 박지원이 걸었던 사행길이 시작되는 곳인 단둥시로 가기 전에 제일 먼저 방문한 곳이 뤼순 감옥이다. 이 감옥은 일본 제국이 직접 운영하다 1932년부터는 일본 제국이 괴뢰국으로 세운 만주국에서 운영했다.
2025.06.05
【열하일기 1】박지원 열하일기 코스를 240년만에 답사하며
【문화】 여행 가방이 바뀌었어요! (1) 화사한 봄날에 고(옛)조선유적답사회가 주관하는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에 참여했다. 이번 여행은 240여 년 전 연암 박지원이 건륭제 70세 탄신 축하사절의 일원인 자제 군관으로 뽑혀 걸었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여행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박지원 (20) 백과 양반전 (6) 백과 호질 (5) 백과 서유문 (4) 백과 연행일기 (4) 백과 허생전 (4) 백과 고대 소설 (3) 백과 북학파 (3) 백과 1780년 (2) 백과 과농소초 (2) 백과 남정일기 (2) 박제가 (2) 백과 이서구 (2) 백과 일기 (2) 백과 조선 정조 (2) 백과 조천일기유고 (2) 백과 홍대용 (2) 백과
◈ 참조 키워드
박지원 (7) 백과 뤼순 감옥 (5) 다롄시 (4) 백과 비사성 (4) 백과 누르하치 (3) 백과 다렌 시 (3) 백과 원숭환 (3) 흥성시 (3) 고조선유적답사회 (2) 마부대 (2) 백과 백상루 (2) 백과 베이징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삼전도비 (2) 백과 신익성 (2) 백과 신채호 (2) 백과 안중근 (2) 백과 영원대첩 (2) 유상근 (2) 이서구 (2) 백과 이성량 (2) 최흥식 (2) 칠불사 (2) 흥성고성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박지원의 기행문집.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