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조선물산장려회 취지문 ◈
카탈로그   본문  
1920
1
조선물산장려회 취지문
 
 
2
우리 조선 반도는 천부(天府)의 토(土)이요, 부원(富源)의 땅이라.
 
3
반만년 장구한 세월에 간단없이 물자를 공급하고 사업을 부여하야 종족이 번식하고 문화가 계발되었도다. 생장력만은 지미(地味)는 농업을 가(可)히 써 여(與)케하고 무진장의 광물을 포용한 지질은 공업을 가히 써 장(長)케하며 사통오달한 위치는 상업을 가히 써 성케하고 기후와 풍토는 원예와 임업·목축업에 적절하며 하해(河海)와 항만은 어업과 운수에 절호하여 식산함에 가히 축적하고 흥업함에 가히 치부하겠으니 연(然) 삼천리 근역(槿域)은 삼천만 민족의 보고이요, 태창(太倉)이라 하리로다. 아니 낙원이요, '에덴'이라 하겠도다.
 
4
우리는 가히 고루거각에서 금의옥식(錦衣玉食)으로 행복과 안락의 생활을 향수함이 무의(無疑)할 것 같다. 참말 그러하겠도다. 그러나 시문(試問)하노니 과연 그러한가. 희희부부(噫噫否否)라 사실은 반하여 보고와 태창에서 동결의 궁경(窮境)을 난면(難免)하고 낙원과 '에덴'에서 고난의 참상을 불피(不避)케 되도다. 이것이 과연 어떠한 이유이며 여하한 곡절인가. 오인은 끽경차탄(喫驚嗟嘆)함을 마지아니하노라. 우리는 매일 보기도 하고 듣기도 한다. 우리 동족 중에는 남부여대하며 부로휴유(扶老携幼)하고 내조내부(乃祖乃父)의 고국강산을 버리고 산천이 생소하며 풍토가 부적한 만리이역에 유출(流出)하는자 1일에도 천백으로 계(計)하며 십수년 내에는 백만으로 산(算)하는 것이 아니인가. 또한 우리 존류한 자도 기 산업이 일(日)로 쇠하고 월(月)로 퇴하야 빈(貧)에 빈을 증가하고 약(弱)에 약을 가하게되니 <근자 경제공황은 별문제임>이 어찌 도외치(度外置)하며 등한시할 바리오. 실로 심히 연구를 요할 문제라 하노라.
 
5
고구(考究)컨대 개인과 단체를 물론하고 경제력의 여유의 유무, 즉 부와 빈은 생활상의 고와 낙의 차(差)가 유(有)할 뿐 아니라 지식사에 우(優)와 열(劣)을 기(起)하고 종(從)하야 세력상에 강과 약을 생하며 부자는 우(優)하며 강하고 빈자는 열하고 약하야 필경 우승열패와 약육강식의 비희극을 연출케 되나니 그러면 시사(試思)하라. 우리 민족은 우승자인가, 열패자인가, 강식자인가, 약육자인가. 오인은 이를 설명코자 아니하고 다만 우리의 빈약한 원인이 무엇인가를 말하고자 하노라. 차에 대하여는 물론 근대에 정치이며 교육이며 제도이며 습관이 부패하고 해이하야 농공상을 천시하고 오직 사만 존숭하며 당쟁을 유일의 정략으로 하고 의문(儀文)을 최선의 교육으로 하였으니 이와 같이 한 것이다. 빈약의 원인이 될 것은 무의(無疑)할지라, 연이나 이것들은 다 원인(遠因)이요, 근인(近因)은 아니라.
 
6
자(玆)에 오인은 일대 근인이 유함을 간파하였으니 후(厚) 자급치 아니함이라 하노라. 환언하면 조선물산을 장려치 아니함이니 고로 오인이 이에 대서특서하고 절규고창(絶叫高唱)하는 바는 자작자급하자 함이니 즉, 조선물산을 장려함이요, 또 환언하면 보호무역을 의미함이니 이것이 우리 조선인에게 가장 큰 문제라 하노라(국제무역에는 보호무역과 자유무역아 유하니 보호무역은 국화(國貨)를 보호키 위하야 외화에 대한 관세를 중히 부담시켜 자국에 수입키 난(難)케 하는 무역이요, 자유무역은 자국의 상공업이 파(頗)히 발달되어 외화가 수입이 될지라도 타격이 없을 만한 정도인고로 관세를 경멸하여 외화가 자유로 수입되게 하는 무역이니 영국이 일시 차 주의(主義)를 취하였음). 현금 구미각국은 저와 같이 상공업이 발달되었으나 자유무역주의를 행하는 나라는 일(一)도 없고 다 보호무역주의를 행하나니 유차관지(由此觀之)컨대 선진이요, 부강한 국도 여피(如彼)히 국산을 장려하고 무역을 보호하거든 우황(又況) 낙오(落伍)이요, 빈약한 조선이리오. 고로 오인은 조선물산[本貨]을 장려하지 아니치 못하니라 하노니 차를 행함에는 하(下)의 실익이 유함을 확신하노라.
 
7
1. 경제계의 진흥이니 대범(大凡)조선은 연년이 거액의 수입초과가 되야 경제계가 점차로 위미(萎慛)하고 쇠퇴하는지라. 고로 본화를 장려하여야 수입초과의 해를 방지함으로써 경제의 진흥을 도(圖)함이요.
 
8
2. 사회의 발달이니 경제를 인류생활의 기본이요, 원체라 경제의 융체(隆替)는 오인 생활상 만반사업(萬般事業)에 기 영향이 파급치 않는 것이 없나니 고로 본화를 장려하여 경제계의 융성을 기하는 동시에 사회발달을 도함이요.
 
9
3. 실업자 구제책이니 농공상은 물론하고 타화(他貨)[비자본]의 세력으로 인하야 조선인 실업자의 다(多)함은 실로 천(千)으로 계(計)하야 백으로 산할 수 없는지라. 고로 본화를 장려하야 실업자로 취직케 함이 사회구제상 막대한 효과를 수(收)함이요.
 
10
4. 본화를 애중히 여김이니 이는 정신상에 관한 대문제라. 근대 조선인은 숭외배외심이 성하야 본화는 여하히 우미(優美)한것이라도 탁(濁)하니 진(陳)하니 하야 염지기지(厭之棄之)하고 타화는 아무리 조열한 것이라도 청(淸)하니 신(新)하니 하야 애지호지 한다. 하특물화(何特物貨)뿐이리오. 천사만반(千事萬般)이 개연(蓋然)하다 하노라. 고로 본화를 장려하야 위선 본화애중념(本貨愛重念)을 발(發)케하고 아울러 자중자애성을 함양케 함이요.
 
11
5. 근검풍(勤儉風), 감용성(敢勇性)을 화성(化成)케 함이니 근대 조선인은 나약하고 나타하야 사치와 부허(浮虛)를 숭상함이 일심(日甚)하는지라 기 원인이 나변에 재(在)한가 함에 대하야 여러가지의 원인이 유할 줄 지(知)하거니와 연(然)한 중 취(脆)하며 약하며 박(薄)하며 경(輕)한 타화를 수요함이 중요한 원인의 일(一)됨은 인(忍)치 아니치 못할지라. 고로 견(堅)하며 실(實)하며 후(厚)하며 질박한 본화를 장려하야 차를 사용케함으로써 근실(勤實)과 검소의 풍을 성(成)케하는 동시에 감용하며 쾌할한 성(性)으로 화(化)케 함을 도함이다.
 
12
차를 여행(勵行)하야 실효를 거(擧)코자 함에 가장 필요한 것은 공덕심과 공익심이라 함이니 대개 우리가 법령이나 정책으로는 여차한 문제를 해결할 권리 또는 처지가 아닌즉 자위상 불가불 공덕심과 공익심에 의하지 아니치 못할지라. 가령 본화가 설혹 타화보다 물질상 또는 가격상으로는 개인경제상 다소 불이익점이 유하다 할지라도 민족경제상 이익에 유의하여 차를 애호하며 장려하야 수요하며 구매하지 아니치 못할지라. 고로 오인은 의복·음식을 위시하야 가장즙물(家藏汁物)이며 일용품물에 지(至)하기까지 부득이한 물품 이외에는 철저히 본지를 실천 궁행하고 일보를 진(進)하여 상공업에 착수·역행하야 직접으로 실업계의 진흥과 융창(隆昌)을 도하고 간접으로 일반사회의 발전과 진보를 기하여 근역(槿域) 삼천리가 이천만 민족의 진개낙원(眞箇樂園)·진개에덴이 되기를 지성으로 갈망하는 바로다.
 
 
13
대정(大正) 9년 8월
14
임시사무소 야소교서원
 
 
15
발기인 씨명(가나다순)
 
16
고진한(高鎭翰) 고영수(高永洙) 김광선(金光善) 김동원(金東元) 김보원(金寶源)
17
김성업(金性業) 김성탁(金聖鐸) 김승기(金承基) 김신모(金信模) 김우석(金禹錫)
18
김찬두(金燦斗) 김형숙(金亨淑) 김형식(金瀅植) 김행일(金行一) 김홍식(金弘湜)
19
김취성(金취性) 곽권응(郭權膺) 권성관(權成觀) 장기섭(張基燮) 정규현(鄭奎鉉)
20
정두현(鄭斗鉉) 정세윤(鄭世胤) 정약연(丁若淵) 정창신(鄭昌信) 정일선(丁一善)
21
조덕용(趙德龍) 조명식(趙明植) 조태선(趙泰善) 이명범(李明範) 이병돈(李秉敦)
22
이보식(李輔植) 이석원(李錫元) 이석찬(李錫贊) 이영하(李泳夏) 이영한(李泳漢)
23
이영한(李泳漢) 이용준(李用俊) 이인식(李仁植) 이겸량(李謙良) 이희철(李熙철)
24
이재후(李載厚) 이제학(李濟鶴) 이진성(李眞誠) 임찬익(林燦益) 박경석(朴經錫)
25
박기원(朴基源) 박인관(朴寅寬) 박인관(朴仁寬) 박치록(朴致祿) 박치종(朴治鐘)
26
백윤식(白潤植) 백응현(白應賢) 변인서(邊麟瑞) 변치덕(邊致德) 손수경(孫壽卿)
27
송기창(宋基昌) 양성춘(楊性春) 오윤선(吳胤善) 주공삼(朱孔三) 전덕순(全德淳)
28
전흥서(全興瑞) 조만식(曺晩植) 채광덕(蔡光德) 최영복(崔永福) 최석환(崔錫煥)
29
최억태(崔億泰) 한영길(韓永吉) 한윤찬(韓允燦) 한효식(韓孝植)
【원문】조선물산장려회 취지문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취지문〕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1) 변강쇠가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1920년 [발표]
 
  # 취지문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기록물 > 공공기록물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조선물산장려회 취지문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5년 08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