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월 1일, 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월 26일, 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4월 13일, 귀국, 공안합수부에 체포됨.
6월 30일, 북한의 중앙방송, 전대협대표 임수경(林秀卿)이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평양에 도착했다고 보도.
8월 31일, 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억달러).
12월 31일, 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5공특위˙광주특위 연석회의에 출석, 125개 항목에 걸친 서면질문에 관해 증언함.
동양
2월 18일, 나지블라 아프가니스탄 대통령, 반군 공세에 맞서 비상사태 선포.
3월 8일, 반(反)호메이니폭동 발생.
4월 15일, 중국 당총서기 후야오방 사망.
18일, 미국·일본간 태평양 해저광섬유전선 개통.
20일, 중국에서 민주화 시위 전국으로 확산, 천안문(天安門)광장에 10만여 군중 집결 시위.
소련 공산당 서기장 고르바초프, 중국 방문하고 양국관계 정상화·국경주둔병력 감축 등에 합의.
6월 3일, 이란 최고지도자 A.R.호메이니 사망(86세), 24일, 중국 공산당 제13기 중앙위전체회의에서 총서기에 장쩌민[江澤民] 정치국원 선출.
12월 2일, 타이완이 40년 만에 처음으로 다당제하에서 총선거 실시.
27일, 이집트·시리아, 13년 만에 외교관계 재개에 합의.
세계
2월 14일, 미국, 《악마의 시(詩)》와 관련, 이란과의 외교관계 동결을 선언.
3월 26일, 소련 인민대표회의 대의원 선출을 위한 직접투표 실시, B.옐친 등 대거 당선.
4월 25일, 고르바초프체제 강화.
5월 16일,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C.메넴 당선.
6월 22일, 77그룹 각료회의 개막(베네수엘라 카라카스).
26일, EC 12개국 정상회담 개막(마드리드).
7월 4일, 소련 작가동맹, A. 솔제니친의 시민권회복 및 작가동맹 복귀.
20일, 폴란드의 상·하 양원합동회의, W.야루젤스키 공산당지도자를 대통령으로 선출.
8월 7일, 볼리비아 대통령에 하이메 파스 취임.
10월 12일, 폴란드 정부, 시장경제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급진 경제정책을 발표.
11월 9일, 동독이 베를린장벽을 포함한 모든 국경을 공식 개방.
28일, H.콜 서독 수상, 동·서독 재통일의 준비단계로 연방구성을 하자는 10개항 통독안 발표.
루마니아 체조선수 N.코마네치, 헝가리에 정치적 망명 요청.
12월 2~3일, 미·소 몰타 정상회담.
16일, 미국 부시와 프랑스 미테랑, 양국 대통령 정상회담(생마르탱섬).
21일, 루마니아에 내란.
22일, 루마니아의 차우셰스쿠 정권 붕괴. 대통령 부부 체포되어 사형.
중국
03.05. 대규모 티베트 독립 시위 발생, 중공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시위대를 유혈 진압
04.15. 후야오방 전총서기 심장병 사망, 그의 죽음으로 베이징에서 시위가 시작. 이후 천안문 사태로 이어짐
04.16. 북경의 학생 및 시민 호요방 사망 애도, 부패공격 대자보 등장
04.21. 북경대학교 동맹휴학 결정, 천안문광장 20만 인파 집결
04.27. 북경서 건국 후 최대 민주화시위, 학생 20만명 시민 1백만명
05.20. 10시 북경 주요지역에 계엄 선포
05.26. 톈안먼(天案門) 사태로 자오쯔양(趙紫陽) 총서기 실각,
06.04. 천안문 사건,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 군이 시위군중 수천명을 포위하여 발포함
06.05. 톈안먼 광장에서 시위자가 전차의 앞길을 가로막다.
06. 톈안먼(天案門) 사태로 자오쯔양(趙紫陽) 총서기 실각, 보수파 지도부 장악, 장쩌민(江澤民) 총서기 취임.
12. 치리정돈에 따른 심각한 경기침체와 실업증대로 긴축정책 부분적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