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 confirm you’re not a bot
This helps protect our community. Learn more
국립국악원 토요정담: 민화작가 오순경[2015.09.12.] 03. 대금독주(Daegeumi Solo) '상령산(Sangnyeongsan)'
18Likes
2,062Views
2015Sep 21
국립국악원 토요정담
  • 민화작가 오순경
03. 대금독주 '상령산' 영산회상(靈山會相)은 원래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이라는 일곱 글자를 노래하던 불교 성악곡이었는데, 이것이 세속음악과 만나 파생곡을 만들어 내면서 오늘날에는 9곡을 이어 연주하는 모음곡이 되었다. 한바탕을 모두 연주하면 약 40분 가량 걸리는데, 그 전체를 다시 대규모 관악기 중심의 악곡으로 연주하기도 하고, 일부분만을 따로 떼어 변주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연주하기 때문에 전통음악 가운데 가장 많이 연주되는 기악곡이라 할 수 있다. 오늘 연주 될 ‘상령산’은 영산회상 9곡 중 첫 곡으로 대금이나 피리로 독주할 때, 정형화 된 가락을 벗어나 연주자의 역량에 따라 자유 롭게 변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 대 금: 노붕래 “Saturday Talk Show,” the friendly Saturday talk concert
  • Folk Painter Oh Sun-gyeong
03. Daegeumi Solo, “Sangryeongsan” Yeongsan hoesang was originally a Buddhist vocal music that sang about the 7 characters in “Yeon- San-Hoe-Sang-Bul-Bo-Sal.” This was then introduced to secular music and produced derivative music, which is the suite that plays the 9 songs as a compilation. One batang (tale) takes about 40 minutes to play. But, because it is played in various forms such as playing the whole song as a large-scale orchestral music or centered on wind instruments or playing a variation by taking out specific sections, it is one of the most widely performed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oday’s performance “Sangryeongsan” is the first song among 9 songs of Yeongsan hoesang, which is characterized by freely performing variations depending on each performer beyond the standardized melody during daegeum or piri solo. ○ Daegeum: No Bung-rae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69.2K subscri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