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포구락
포구락은 공 던지기 놀이를 형상화한 궁중춤으로 고려 문종 27년(1073) 팔관회에서 처음 추어진 후 현재 전승되고 있는 작품이다.
12명 혹은 16명의 무용수들이 포구문을 중심으로 두 편으로 나뉘어 춤을 추다가 포구문 위에 뚫린 구멍(풍류안)에 던져 넣는 것을 겨루는 게임 형식의 춤이다. 공을 풍류안으로 넣은 사람에게는 봉화(奉花)가 꽃을 주고, 풍류안에 넣지 못한 사람에게는 봉필(奉筆)이 얼굴에 먹점을 찍는다.
A court dance that enacts throwing of balls, this has been passed down ever since it was performed at Palgwanhoe in the 27th year of Goryeo’s King Mujong (1073, CE).
Dancers of a number between 12 and 16 split into two teams who compete to throw a ball into a hole in the middle. The person who scores a goal receives a flower, but those who do not have their face tainted with a spot.
○ 무용/이미영·이윤정·최형선·김혜영·이지연·유재연·박민지·이지은·이주리·임동연
○ 집박/김기동, 피리/이종무·민지홍, 대금/이승엽·이종범, 해금/김용선·한갑수, 장구/박거현, 좌고/안성일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more
...more
Show 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