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 confirm you’re not a bot
This helps protect our community. Learn more
국립국악원 토요명품공연[2015.04.11.] 04. 서도잡가(Seodo Japga) 국문뒷풀이
9Likes
1,621Views
2015Apr 15
04. 서도잡가(국문뒷풀이) 서도잡가는 황해도와 평안도의 직업 예능인들에게 전승되어 온 전문가들의 노래를 가리킨다. 서서 노래하는 서도산타령 외에 앉아서 노래하는 제전, 초한가, 공명가, 추풍감별곡 그리고 시창과 송서로 구분된다. 좁은 의미로는 좌창만을 지칭할 때도 있다. 노랫말은 길지만 음악적으로는 복잡하지 않은데, 맨 마지막은 대개 수심가의 선율로 마무리하곤 한다. 서도산타령은 경기 산타령과 음악적 영향 관계가 있고, 제전, 초헌가 등은 서사적인 사설내용이 불규칙한 박자구조로 노래 불린다. 시창은 한문가사를 느리게 노래하며, 송서는 글 읽는 스타일로 노래하는 것을 말한다. 04. Seodo Japga These are song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professional vocalists from the Hwanghae and Pyeongan regions. Apart from Seodo Santaryeong, where the singer stands up while performing, Jecheon, Chohanga, Gongmyeongga, Chupung Gambyeolgok, Sichang, and Songseo are sung with the singer seated. In a narrow sense, Seodo Japga refers to those songs where the singer is seated. Although these songs have lengthy lyrics, musically they are not complicated, and they usually end in the melody of Susimga. Seodo Santaryeong is musically related to Gyeonggi Santaryeong, while Jeheon and Choheonga, which have descriptive lyrics, are sung over irregular rhythms. Sichang slowly sings a Sino-Korean text, but Songseo sounds more like reading a text. ○ 출연/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노래 : 김민경, 채수현(준단원)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Follow along using the transcript.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69.7K subscri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