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0일 (수)
(음 윤6월 6일, 庚子)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1510년
•
백범김구기념관
•
사랑 손님과 어머니
•
이순신(李舜臣)
•
1517년
•
흉배(胸背)
•
조신 설화(調信說話)
•
1770년대
•
황순원(黃順元)
•
마르틴 루터
•
춘향전(春香傳)
•
민요(民謠)
•
여수 진남관
•
소나기
•
이무영(李無影)
•
난중일기(亂中日記)
•
묘향산보현사지기
•
죽부인전(竹夫人傳)
•
설문 해자(說文解字)
•
1519년
▣
옥계청유첩 (玉溪淸遊帖)
바로가기
1791년 유두절(음력 유월 보름날)에 열린 송석원시사의 시회에서 지은 글들을 모아 두었던 시사 회원인 김의현(金義鉉)에 의해 시첩으로 만들어졌다, 김의현은 평생 인왕산 자락에서 서화와 음악을 즐기며 살았던 위항시인 시한재(是閒齋) 김순간(金順侃)의 아들이다.
작품
:
1791년
유두절(음력 유월 보름날)에 열린
송석원시사
의 시회에서 지은 글들을 모아 두었던 시사 회원인
김의현(金義鉉)
에 의해 시첩으로 만들어졌다, 김의현은 평생 인왕산 자락에서 서화와 음악을 즐기며 살았던 위항시인 시한재(是閒齋)
김순간(金順侃)
의 아들이다.
그는 대대로 경아전 생활을 한 중인이었으나 집안이 넉넉했기에 당대 최고의 화원이었던 이인문과 김홍도 두 사람에게 그림을 부탁해 시첩에 추가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옥계청유첩
(玉溪淸遊帖)
위항문학
시사
(詩社)
송석원
(松石園)
1791년
1786년
김낙서
(金洛瑞)
1753
차좌일
(車佐一)
1759
장혼
(張混)
1762
조수삼
(趙秀三)
1764
왕태
(王太)
1768
천수경
(千壽慶)
1771
박윤묵
(朴允墨)
1786
송석원시사
비연시사
1840
서원시사
(미정의)
김순간
(미정의)
김의현
•
김홍도 필 송석원시사야연도 및 이인문 필 송석원시회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A) 기본 자료
기본 자료
[풍속화] 김홍도 필 송석원시사야연도
김홍도 (1791년 6월)
(22)
[풍경화] 이인문 필 송석원시회도
이인문 (1791년 6월)
(18)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