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상(李箱)
•
시경(詩經)
•
날개(-)
•
서울 특별시
•
고대 소설(古代小說)
•
김기림(金起林)
•
이순신(李舜臣)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북천가(北遷歌)
•
설화(說話)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논어(論語)
•
채만식(蔡萬植)
•
가사(歌辭)
•
숙향전(淑香傳)
•
염상섭(廉想涉)
•
제주특별자치도
•
옥소전(玉簫傳)
▣
최대립 (崔大立)
바로가기
[? ~ ?] 조선 인조 때 驛官(역관). 자 秀夫(수부). 호 蒼厓(창애). 본관 隋城(수성). 뛰어난 시재를 지녔으며, 홍세태(洪世泰) 등과 함께 낙사시사(洛社詩社)의 구성원이었다.
인물
:
[? ~ ?] 조선 인조 때 驛官(역관). 자 秀夫(수부). 호 蒼厓(창애). 본관 隋城(수성). 뛰어난 시재를 지녔으며,
홍세태(洪世泰)
등과 함께
낙사시사(洛社詩社)
의 구성원이었다.
역관으로서 明(명) 나라 사신들과 많이 사귀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최대립
(崔大立)
18c초
역관
(譯官)
위항문학
시사
(詩社)
천기론
(天機論)
1682년
1653
홍세태
(洪世泰)
1545
유희경
(劉希慶)
1628
유찬홍
(庾纘洪)
1635
윤지완
(尹趾完)
1646
최석정
(崔錫鼎)
1651
김창협
(金昌協)
1653
김창흡
(金昌翕)
1653
이규명
(李奎明)
1664
김부현
(金富賢)
1668
김정우
(金鼎禹)
1674
이광좌
(李光佐)
1681
정내교
(鄭來僑)
1697
정민교
(鄭敏僑)
임준원
(林俊元)
최승태
(崔承太)
낙사시사
1411
승문원
(承文院)
1682
임술사행
사역원
(司譯院)
풍월향도
제술관
(製述官)
1712
해동유주
유하집
(柳下集)
•
최기남(崔奇男)
•
남응침(南應琛)
•
육가잡영(六家雜詠)
•
소대풍요(昭代風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