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육가잡영 (六家雜詠)
조선후기 위항시인 정남수 · 최기남 등 6인의 시 210수를 수록하여 1660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운각필서체자(芸閣筆書體字).
◈ 지식지도 관계
육가잡영 (六家雜詠) 1660 1712 해동유주 1737 소대풍요 1797 풍요속선 1857 풍요삼선 위항문학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한방 의학 시사 (詩社) 천기론 (天機論) 1660년 17세기 (17世紀) 1660년대 1857년 1797년 1737년 1712년 1682년 1648년 1589 최기남 (崔奇男) 1595 이경석 (李景奭) 1596 남응침 (南應琛) 1653 홍세태 (洪世泰) 정남수 (鄭柟壽) 16c중 정예남 (鄭禮男) 18c초 최대립 (崔大立) 1545 유희경 (劉希慶) 1546 허준 (許浚) 1548 김장생 (金長生) 1566 신흠 (申欽) 1577 이경직 (李景稷) 1612 소현 세자 (昭顯世子) 1646 최석정 (崔錫鼎) 1651 김창협 (金昌協) 1653 김창흡 (金昌翕) 1653 이규명 (李奎明) 1660 찰스 2세 박계강 (朴繼姜) 최승태 (崔承太) 1668 김정우 (金鼎禹) 1669 채팽윤 (蔡彭胤) 1671 고시언 (高時彦) 1674 이광좌 (李光佐) 1697 정민교 (鄭敏僑) 1724 홍양호 (洪良浩) 1727 정창순 (鄭昌順) 1742 이가환 (李家煥) 1783 정원용 (鄭元容) 1793 유재건 (劉在建) 1796 조두순 (趙斗淳) 낙사시사 1786 송석원시사 1876 육교시사 대동 시선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1646 사문사건 1649 조선 효종의 북벌 계획 1639 삼전도비 (三田渡碑) (미정의) 김효일
 
◈ 최근등록순
2025.03.24
【문학】 육가(六家)'는 여섯 사람이고, '잡영(雜詠)'은 혹은 절구(絶句)고, 혹은 고시(古詩)며, 혹은 율의 장단으로 그 형식이 하나가 아님을 이른다. 남응침 군(君)은 곧 나의 어릴 적 옛날 교우이다. 중년에는 오랫동안 소원하였다가 내가 줄곧 내의원 제조로 일할 때에 미쳐서는 서로 자주 만났는데, 일찍이 그처럼 뜻이 잘 통하는 사람은 없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