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4일 (일)
(음 4월 7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이태준(李泰俊)
•
박태원(朴泰遠)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이명선(李明善)
•
조선문학가동맹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날개(-)
•
김기림(金起林)
•
무진기행(霧津紀行)
•
시경(詩經)
•
이광수(李光洙)
•
노자영(盧子泳)
•
사미인곡(思美人曲)
•
난중일기(亂中日記)
•
사자소학(四字小學)
•
유배 가사(流配歌辭)
•
조선문학건설본부
•
경복궁(景福宮)
▣
김품석 (金品釋)
바로가기
[? ~ 642년] 고타소공주의 부군으로, 김춘추(훗날 태종 무열왕)의 사위이다. 대야성주를 지내던 중에 백제군에게 죽임을 당한다.
인물
:
[? ~ 642년] 고타소공주의 부군으로, 김춘추(훗날 태종 무열왕)의 사위이다. 대야성주를 지내던 중에 백제군에게 죽임을 당한다.
생애
김품석은 벼슬이 이찬에 올라
대야성
의 도독으로 부임한 뒤 부하인 검일의 아내를 빼앗아 원한을 샀다.
642년
에 백제의 장군 윤충이 군사를 이끌고와 대야성을 포위했다. 그때 검일이 백제군에 항복하여 창고에 불을 지르니 민심이 흉흉해져 성을 지킬 자신감을 잃었다. 보좌관인 서천이 항복할 것을 권유하여 성 밖으로 나가려 했는데 이때 화랑
죽죽
이 만류했다. 그는 말을 듣지 않고 성문을 열어 군사들을 성 밖으로 나가게 하자 백제의 복병은 이들을 살해했다. 이 소식을 들은 그는 처자를 죽이고 자살했다. 결국 대야성은 함락당하고
윤충
은 그의 목을 베어 사비에 보냈다. 김품석의 유골은
647년
김유신이 대야성 설욕전에서 사로잡은 백제 장군 8명과 교환되어 비로소 신라로 돌아왔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품석
(金品釋)
592
627
정관의 치
(貞觀之治)
합천군
(陜川郡)
642년
647년
후백제
(後百濟)
7세기
640년대
1018년
920년
640년
641년
643년
644년
645년
646년
648년
649년
627년
565년
592
죽죽
(竹竹)
595
김유신
(金庾信)
616
연개소문
(淵蓋蘇文)
632
선덕 여왕
(善德女王)
647
진덕 여왕
(眞德女王)
654
태종 무열왕
900
견훤
(甄萱)
대야성 전투
대야성
(大耶城)
경주 첨성대
(미정의)
윤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토끼의 간
근/현대 소설
김동인
(3)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