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8월 22일 (금)
(음 윤6월 29일, 癸亥)
집계기준 : 2025년 8월 1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언해(諺解)
•
용(龍)
•
삼한 시대 3대 저수지
•
김동인(金東仁)
•
옥소전(玉簫傳)
•
전우치전(田禹治傳)
•
인간 희극(La Comédie humaine)
•
고령 지산동 고분군
•
갈매기(-)
•
오노레 드 발자크
•
가사(歌辭)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
고려·몽골 전쟁
•
월드컵공원
•
개화 가사(開化歌辭)
•
김복진(金復鎭)
•
채만식(蔡萬植)
•
오대호(五大湖)
•
오디세이아(Odysseia)
•
아카드 시대
▣
매화 (梅花)
바로가기
매화나무의 꽃. 추위를 이기고 꽃을 피운다 하여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삼아 정원에 흔히 심어졌고 시나 그림의 소재로도 많이 등장하였다.
지식
:
매화나무
의 꽃.
매화는 서리와 눈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언 땅 위에 고운 꽃을 피워 맑은 향기를 뿜어낸다. 매화는 온갖 꽃이 미처 피기도 전에 맨 먼저 피어나서 봄소식을 가장 먼저 알려 준다.
매화는 창연한 고전미가 있고 말할 수 없이 청고(淸高)하여 가장 동양적인 인상을 주는 꽃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추위를 이기고 꽃을 피운다 하여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삼아 정원에 흔히 심어졌고 시나 그림의 소재로도 많이 등장하였다.
•
조희룡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매화
(梅花)
봄
(春)
사군자
(四君子)
1797
조희룡
(趙熙龍)
국화
(菊花)
난초
(蘭草)
대나무
(竹)
매화나무
가을
(秋)
겨울
(冬)
계절
(季節)
남종화
(南宗畵)
동양화
(東洋畵)
땅속줄기
매실
(梅實)
아지랑이
여름
(夏)
이동성 고기압
포기나누기
황사 현상
1712
최북
(崔北)
1786
김정희
(金正喜)
1791
유최진
(柳最鎭)
1791
이기복
(李基福)
1847
벽오사
(碧梧社)
1853
직하시사
1844
호산외기
•
기녀문학(妓女文學)
•
화사(花史)
•
화왕전(花王傳)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총 12 작품) [
모두보기
]
사우가
四友歌
시조
이신의
(334)
매화사
梅花詞
시조
안민영 (安玟英)
(296)
매화사 삼첩
梅花詞 三疊
근/현대 시
정인보
(50)
매초명월
梅梢明月
한시
율곡 이이
(37)
매화
梅花
한시
이인로(李仁老)
(14)
매화 사장
梅花四章
시조
권섭(權燮)
(10)
매화
근/현대 수필
백신애
(10)
매화타령 (가사)
梅花打令
민요
(10)
매화음
梅花飮
근/현대 수필
김동인
(7)
매화타령 (민요)
梅花打令
민요
(5)
매화
梅花
시
왕안석(王安石)
(2)
매화 칠장
梅花 七章
근/현대 시
정인보
(2)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한국기행 - Korea travel_찾으러 가, 봄 3부- 매화꽃 필 무렵_#002
[여행 > 국내여행] (1)
한국기행 - Korea travel_찾으러 가, 봄 3부- 매화꽃 필 무렵_#001
[여행 > 국내여행] (1)
21c풍류, 여름을 부탁해 / 국립국악원 목요풍류 (풍류시리즈 5) [2016.07.14.]
[음악 > 국악]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