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오륜가(五倫歌)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대운하(大運河)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난중일기(亂中日記)
•
서울 특별시
•
숙향전(淑香傳)
•
인현 왕후(仁顯王后)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조용조(租庸調)
•
종로구(鍾路區)
•
이승만(李承晩)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창랑정기(滄浪亭記)
•
강원도(江原道)
▣
노걸대 (老乞大)
바로가기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역관들의 외국어 학습 및 역과시용으로 간행한 중국어 교재.외국어학습서·중국어학습서.
작품
:
조선시대
사역원
에서 역관들의 외국어 학습 및 역과시용으로 간행한 중국어 교재.외국어학습서·중국어학습서.
책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본래 고려 말에 한어(漢語) 회화 학습서로 집필된 듯하지만, 이 책의 이름이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세종실록』 5년(1423)의 기사이다.
조선 세종 때 왕명으로 편찬한 중국어 학습서.
고려의 상인이 인삼 등 우리나라 특산물을 말에 싣고 베이징(北京)에 가서 팔고, 그 곳 특산물을 사서 귀국할 때까지의 기록으로, 여행이나 교역(交易) 등에 알맞은 대화를 48장 106 절로 꾸며 이를 익히게 하였음. 2권 1책.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노걸대
(老乞大)
1473
최세진
(崔世珍)
사역원
(司譯院)
노걸대언해
박통사
(朴通事)
언해
(諺解)
박통사언해
번역박통사
박통사신석언해
•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
노박집람(老朴輯覽)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노박집람
老朴集覽
어문/학습/예술
최세진
(15)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