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0일 (토)
(음 4월 13일, 己卯)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시경(詩經)
•
이태준(李泰俊)
•
남석하(南碩夏)
•
동파키스탄(東Pakistan)
•
사서 삼경(四書三經)
•
최고운전(崔孤雲傳)
•
홍길동전(洪吉童傳)
•
서동지전(鼠同知傳)
•
백련초해(百聯抄解)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척화오신(斥和五臣)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흥부전(興夫傳)
•
고려 가요(高麗歌謠)
•
대수양(大首陽)
•
관동별곡(關東別曲)
•
아프로디테(Aphrodite)
•
네르친스크 조약
•
허전(許㙉)
•
민용호(閔龍鎬)
▣
이상문학상 (李箱文學賞)
바로가기
대한민국의 문학상이다. 요절한 소설가 이상을 기려 출판사 문학사상사에서 1977년 제정하여 1년에 한 번 시상한다. 중편 및 단편 소설에 관해서는 대체로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으로 여겨지며, 해마다 펴내는 수상작품집은 서점가의 베스트셀러에 오르곤 한다.
지식
:
대한민국의 문학상이다. 요절한 소설가 이상을 기려 출판사 문학사상사에서 1977년 제정하여 1년에 한 번 시상한다. 중편 및 단편 소설에 관해서는 대체로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으로 여겨지며, 해마다 펴내는 수상작품집은 서점가의 베스트셀러에 오르곤 한다.
심사대상은 전년도의 1월부터 12월까지 문예지를 비롯한 각 잡지에 발표된 중편 및 단편의 순수문학 소설이며, 수상작품집은 1월에 발매한다. 작품집의 제목은 《****년 제**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대상 수상작 제목]》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최종 심사에 오른 소설들이 함께 수록된다.
대상 수상작의 경우 시상 규정에 따라 저작권이 문학사상사에 귀속되기 때문에(단, 2차 저작권은 작가에게), 수상에 대한 수락 의사를 본인에게 확인하게 되어 있다.
역대 대상 수상자 및 수상작
제1회 (1977년)
김승옥
〈
서울의 달빛 0장
〉
제2회 (1978년)
이청준
〈
잔인한 도시
〉
제3회 (1979년)
오정희
〈
저녁의 게임
〉
제4회 (1980년)
유재용
〈
관계(소설)
〉
제5회 (1981년)
박완서
〈
엄마의 말뚝
〉
제6회 (1982년)
최인호
〈
깊고 푸른 밤
〉
제7회 (1983년)
서영은
〈
먼 그대
〉
제8회 (1984년)
이균영
〈
어두운 기억의 저편
〉
제9회 (1985년)
이제하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제10회 (1986년)
최일남
〈
흐르는 북
〉
제11회 (1987년)
이문열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제12회 (1988년)
임철우
〈
붉은 방
〉/
한승원
〈
해변의 길손
〉
제13회 (1989년)
김채원
〈
겨울의 환幻
〉
제14회 (1990년)
김원일
〈
마음의 감옥
〉
제15회 (1991년)
조성기
〈
우리 시대의 소설가
〉
제16회 (1992년)
양귀자
〈
숨은 꽃
〉
제17회 (1993년)
최수철
〈
얼음의 도가니
〉
제18회 (1994년)
최윤
〈
하나코는 없다
〉
제19회 (1995년)
윤후명
〈
하얀 배
〉
제20회 (1996년)
윤대녕
〈
천지간
〉
제21회 (1997년)
김지원
〈
사랑의 예감
〉
제22회 (1998년)
은희경
〈
아내의 상자
〉
제23회 (1999년)
박상우
〈
내 마음의 옥탑방
〉
제24회 (2000년)
이인화
〈
시인의 별
〉
제25회 (2001년)
신경숙
〈
부석사(소설)
〉
제26회 (2002년)
권지예
〈
뱀장어 스튜
〉
제27회 (2003년)
김인숙
〈
바다와 나비
〉
제28회 (2004년)
김훈
〈
화장(소설)
〉
제29회 (2005년)
한강
〈
몽고반점
〉
제30회 (2006년)
정미경
〈
밤이여, 나뉘어라
〉
제31회 (2007년)
전경린
〈
천사는 여기 머문다
〉
제32회 (2008년)
권여선
〈
사랑을 믿다
〉
제33회 (2009년)
김연수
〈
산책하는 이들의 다섯 가지 즐거움
〉
제34회 (2010년)
박민규
〈
아침의 문
〉
제35회 (2011년)
공지영
〈
맨발로 글목을 돌다
〉
제36회 (2012년)
김영하
〈
옥수수와 나
〉
제37회 (2013년)
김애란
〈
침묵의 미래
〉
제38회 (2014년)
편혜영
〈
몬순(소설)
〉
제39회 (2015년)
김숨
〈
뿌리 이야기
〉
제40회 (2016년)
김경욱
〈
천국의 문
〉
제41회 (2017년)
구효서
〈
풍경소리
〉
제42회 (2018년)
손홍규
〈
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
제43회 (2019년)
윤이형
〈
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
〉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상문학상
(李箱文學賞)
1977
문학상
(文學賞)
1955
동인 문학상
노벨상
소설
(小說)
창극
(唱劇)
판소리
소설가
(小説家)
맨부커 국제상
퓰리처상
현대문학
장흥군
(長興郡)
1920년대
1983년
1933년
1934년
1936년
1903
김지원
(金志遠)
1907
김연수
(金演洙)
1910
이상
(李箱)
1931
박완서
(朴婉緖)
1939
이청준
(李淸俊)
1941
김승옥
(金承鈺)
1942
김원일
(金源一)
1948
이문열
(李文烈)
1955
양귀자
(梁貴子)
1970
한강
(韓江)
임철우
(林哲佑)
1986
김훈
(金薰)
1865
송만갑
(宋萬甲)
1874
유성준
(劉成俊)
1876
정정렬
(丁貞烈)
1894
정응민
(鄭應珉)
1902
나도향
(羅稻香)
1903
양주동
(梁柱東)
1904
이태준
(李泰俊)
1908
김기림
(金起林)
1909
박태원
(朴泰遠)
1909
조용만
(趙容萬)
1909
정인택
(鄭人澤)
1933
구인회
(九人會)
대한민국 예술원
2010
순천문학관
엄마의 말뚝
1987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1934
오감도
(烏瞰圖)
1936
날개
1938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1964
무진기행
1965
서울 1964년 겨울
어둠의 혼
1980
우상의 눈물
1981
젊은날의초상
1983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1986
원미동 사람들
2004
채식주의자
1970
나목
(裸木)
이상의 집
사평역
(沙平驛)
노벨 문학상
(미정의)
겨울의환幻
(미정의)
공지영
(미정의)
관계(소설)
(미정의)
구효서
(미정의)
권여선
(미정의)
권지예
(미정의)
그들의첫번째와두번째고양이
(미정의)
김경욱
(미정의)
김숨
(미정의)
김애란
(미정의)
김영하
(미정의)
김인숙
(미정의)
김채원
(미정의)
깊고푸른밤
(미정의)
꿈을꾸었다고말했다
(미정의)
나그네는길에서도쉬지않는다
(미정의)
내마음의옥탑방
(미정의)
마음의감옥
(미정의)
맨발로글목을돌다
(미정의)
먼그대
(미정의)
몬순(소설)
(미정의)
몽고반점
(미정의)
바다와나비
(미정의)
박민규
(미정의)
박상우
(미정의)
밤이여,나뉘어라
(미정의)
뱀장어스튜
(미정의)
부석사(소설)
(미정의)
붉은방
(미정의)
뿌리이야기
(미정의)
사랑을믿다
(미정의)
사랑의예감
(미정의)
산책하는이들의다섯가지즐거움
(미정의)
서영은
(미정의)
서울의달빛0장
(미정의)
손홍규
(미정의)
숨은꽃
(미정의)
시인의별
(미정의)
신경숙
(미정의)
아내의상자
(미정의)
아침의문
(미정의)
어두운기억의저편
(미정의)
얼음의도가니
(미정의)
오정희
(미정의)
옥수수와나
(미정의)
우리시대의소설가
(미정의)
유재용
(미정의)
윤대녕
(미정의)
윤이형
(미정의)
윤후명
(미정의)
은희경
(미정의)
이균영
(미정의)
이인화
(미정의)
이제하
(미정의)
잔인한도시
(미정의)
저녁의게임
(미정의)
전경린
(미정의)
정미경
(미정의)
조성기
(미정의)
천국의문
(미정의)
천사는여기머문다
(미정의)
천지간
(미정의)
최수철
(미정의)
최윤
(중복)
최인호
(미정의)
최일남
(미정의)
침묵의미래
(미정의)
편혜영
(미정의)
풍경소리
(미정의)
하나코는없다
(미정의)
하얀배
(미정의)
한승원
(미정의)
해변의길손
(미정의)
화장(소설)
(미정의)
흐르는북
•
최인호(崔仁浩)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