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회순
|
|
2019.12.12
|
|
【행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12월 12일(목) 오전 10시 문체부 대회의실에서 ‘관광-국토교통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국제관광과 - 김자영 (044-203-2829)】
|
|
|
|
2019.10.18
|
|
【행정】
고양시(시장 이재준)는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어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거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조정대상지역을 해제해 달라는 민원을 적극 검토해 부동산 규제로 고통 받고 있는 실수요자를 보호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 조정대상지역을 해제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주택과】
|
|
|
|
2019.10.08
|
|
【사회】
수원 연무동과 세류2동이 8일 국토교통부 주관 ‘2019 하반기 도시재생뉴딜 공모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도시재생과 도시재생정책팀 - 최규태(031-228-3842)】
|
|
|
|
2020.05.20
|
|
【산업】
환경부(장관 조명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5월 20일 오후 충북 옥천군에 위치한 씨제이(CJ)물류터미널에서 현대자동차, 씨제이(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쿠팡과 '수소 화물차 보급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대기미래전략과 - 권용락 (044-201-6887)】
|
|
|
|
2019.12.19
|
|
【행정】
○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화단지의 핵심 인프라가 구축될 예정인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해제가 결정됐다.【투자통상과 (613-3890)】
|
|
|
|
2019.12.19
|
|
【행정】
- 20일(금) 서울 코엑스에서 국토교통부장관 표창 수상
【교통정책과】
|
|
|
|
2019.12.19
|
|
【행정】
수원시가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디지털지적 구축(지적재조사) 활성화 유공 평가’ 전국 기초자치단체 부문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기관 표창을 받았다. 시상식은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렸다. 【토지정보과 지적재조사팀 - 신용화(031-228-2422)】
|
|
|
|
2019.12.17
|
|
【문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12월 17일(화) 오후 3시, 부천 영상문화산업단지에서 문화예술 기반시설과 문화예술인의 주거 지원을 연계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공연전통예술과 - 김경래 (044-203-2736)】
|
|
|
◈ 최근등록순
|
|
2020.05.20
|
|
【산업】
환경부(장관 조명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5월 20일 오후 충북 옥천군에 위치한 씨제이(CJ)물류터미널에서 현대자동차, 씨제이(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쿠팡과 '수소 화물차 보급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대기미래전략과 - 권용락 (044-201-6887)】
|
|
|
|
2019.12.19
|
|
【행정】
수원시가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디지털지적 구축(지적재조사) 활성화 유공 평가’ 전국 기초자치단체 부문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기관 표창을 받았다. 시상식은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렸다. 【토지정보과 지적재조사팀 - 신용화(031-228-2422)】
|
|
|
|
2019.12.19
|
|
【행정】
- 20일(금) 서울 코엑스에서 국토교통부장관 표창 수상
【교통정책과】
|
|
|
|
2019.12.19
|
|
【행정】
○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화단지의 핵심 인프라가 구축될 예정인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의 해제가 결정됐다.【투자통상과 (613-3890)】
|
|
|
|
2019.12.17
|
|
【문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12월 17일(화) 오후 3시, 부천 영상문화산업단지에서 문화예술 기반시설과 문화예술인의 주거 지원을 연계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공연전통예술과 - 김경래 (044-203-2736)】
|
|
|
|
2019.12.13
|
|
【행정】
전라남도는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지적재조사사업 평가 광역자치단체 부문에서 전국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6년 연속 기관표창 수상 쾌거를 이뤘다고 13일 밝혔다.【토지관리과 (286-7650)】
|
|
|
|
2019.12.12
|
|
【행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이하 국토부)는 12월 12일(목) 오전 10시 문체부 대회의실에서 ‘관광-국토교통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국제관광과 - 김자영 (044-203-2829)】
|
|
|
|
2019.11.15
|
|
【정치】
[논평] 노동본부, 정당한 철도노조 파업에 특전사 대체인력 투입은 불법행위,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다. 【정의당 (정당)】
|
|
|
|
2019.11.08
|
|
【정치】
문재인 정권의 ‘시행령 만능주의’ 꼼수 정치가 점점 독재 수준이 되고 있다. 아마추어 장관들을 앞세워 국민의 삶을 좌우하는 정책을 내 맘대로 뒤흔들고 있다. 국회패싱 일방통행 불통정부가 되기로 작정한 것인가.
|
|
|
|
2019.11.07
|
|
【정치】
항공운송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론회 개최(안내) 【윤관석 (국회의원)】
|
|
|
|
2019.11.06
|
|
【--】
지난 10월 31일 독도 인근에서 발생한 소방헬기 추락사고와 관련해 행정안전부(장관 진영),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소방청(청장 정문호), 산림청(청장 김재현), 해양경찰청(청장 조현배)과 서울, 대구, 경기, 경북 등 4개 시·도 합동으로 동일 제조사 헬기 전체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합니다.【재난안전점검과 이영승(044-205-4242)】
|
|
|
|
2019.11.01
|
|
【정치】
국토교통부가 31일 ‘대도시권 광역 교통정책’을 발표했다. 향후 10년간 100조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대규모 토목 SOC 국책 사업이다.
|
|
|
|
2019.10.18
|
|
|
【행정】
국토교통부는 「공항시설법」시행령 제8조의 규정에 따라 ‘제주 제2공항 개발사업 기본계획(안)’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의견 제출을 공식 요청했다. 【공항확충지원과 (064-710-4853)】 2019-10-18 09:58:46
|
|
|
|
2019.10.18
|
|
【행정】
고양시, 국토부에 조정대상지역 해제 요청
【고양시 】 2019.10.18
|
|
|
|
2019.10.18
|
|
【행정】
고양시(시장 이재준)는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어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거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조정대상지역을 해제해 달라는 민원을 적극 검토해 부동산 규제로 고통 받고 있는 실수요자를 보호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 조정대상지역을 해제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주택과】
|
|
|
|
2019.10.13
|
|
【행정】
정부가 남양주, 하남, 과천일대 100만㎡ 이상 규모의 대규모 택지 4곳에 대한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고시하기로 확정함에 따라 10만5,000호 규모의 ‘3기 신도시’ 조성이 본격화된다. 【공공택지과 (031-8008-3243 )】 2019.10.12 18:58:54
|
|
|
|
2019.10.13
|
|
【산업】
- 335만㎡, 공동주택 1만7천호 규모, - 전체면적 30% 공원녹지, 가용면적 40% 이상 첨단산업유치
【도시균형계획국 도시개발계획과 - 이태환 (032-440-3323)】
|
|
|
|
2019.10.13
|
|
【사회】
□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으로 추진중인 「인천광역시 사회참여형 아이-엠오디(I-MoD)* 서비스」 실증을 앞두고, 지난 12일 영종 씨사이드파크에서 개최되는 ‘제21회 영종국제도시 주민의 날’ 시민 홍보에 나섰다.
【기획조정실 스마트도시담당관 - 김미혜 (032-440-8922)】
|
|
|
|
2019.10.08
|
|
【사회】
수원 연무동과 세류2동이 8일 국토교통부 주관 ‘2019 하반기 도시재생뉴딜 공모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도시재생과 도시재생정책팀 - 최규태(031-228-3842)】
|
|
|
|
2019.10.08
|
|
|
【행정】
부산시(시장 오거돈)가 하반기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에 부산시에서 총 4곳이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하반기 선정으로 정부의 도시재생사업에 선정된 부산의 뉴딜사업 대상지는 6곳으로 늘어났다. 【도시재생정책과 - 조일래 (051-888-420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