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시경(詩經)
•
숙향전(淑香傳)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서울 특별시
•
이순신(李舜臣)
•
만복사저포기
•
날개(-)
•
조용조(租庸調)
•
오륜가(五倫歌)
•
이상(李箱)
•
혜경궁 홍씨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황석우(黃錫禹)
•
곽거병(霍去病)
•
프랑켄슈타인
▣
목극등 (穆克登)
바로가기
[1664 ~ 1735] 조선과 청의 국경을 조사하여 1712년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청의 관원.
인물
:
[1664 ~ 1735] 조선과 청의 국경을 조사하여
1712년
백두산정계비
를 세운 청의 관원.
목극등은 1684년에
강희제
의 시위로 임명되었다. 1698년에는 오라총관으로 임명되었다. 1712년 황제의 명령으로 청 정부의 대표로 조선 정부 측에서 파견한 이의복(李義復)·조태상(趙台相) 등과 함께 백두산 일대를 답사하여 양국의 국경을 표시하는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1719년 길림부도통(吉林副都統)에 제수되었고, 이듬해 길림·오라가의 팔기병전봉통령(八旗兵前鋒統領)에 제수되었다. 1735년에 사망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목극등
(穆克登)
1664
간도
(間島)
1712년
1636
청
(淸)
18세기
(18世紀)
1710년대
1710년
1711년
1713년
1714년
1715년
1716년
1717년
1718년
1719년
1661
강희제
(康熙帝)
1643
순치제
(順治帝)
1654
김지남
(金指南)
1658
박권
(朴權)
1663
김응헌
(金應瀗)
김경문
(金慶門)
1712
장 자크 루소
1722
옹정제
(雍正帝)
1735
건륭제
(乾隆帝)
1846
이중하
(李重夏)
1848
어윤중
(魚允中)
1716
강희자전
(康熙字典)
1673
삼번의 난
(三藩--亂)
1689
네르친스크 조약
1909
간도 협약
(間島協約)
1931
만주 사변
(滿洲事變)
1712
백두산 정계비
•
간도 문제(間島問題)
◈ 최근등록순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20.03.29
◈
고구려의 흔적 고구려산성을 답사하다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中, 용담산성의 고구려 유적 파묻고 흔적 지우기 시작
0
|
강희제
,
백두산
,
조선사 편수회
,
목극등
,
다렌 시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조선과 청, 백두산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정하다 - 영상한국사 (199)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