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15일 (목) (음 4월 18일, 甲申 )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이서 (李曙)
[1580 ~ 1637] 조선 중기의 무신, 왕족이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인조 반정의 반정군 지휘관의 한사람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내용보기]  
이서 (李曙) [1580 ~ 1637] 조선 중기의 무신, 왕족이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인조 반정의 반정군 지휘관의 한사람이다. 우계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623년초 인조반정 거사 직전 김류(金瑬), 이귀(李貴), 이괄 등과 협조, 광해군 폐출과 정변을 지원한 공로로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녹훈
◈ 지식지도 관계
이서 (李曙) 1580 1543 이경록 (李慶祿) 1560 이경유 (李慶裕) 1535 성혼 (成渾) 1506 정국 공신 (靖國功臣) 1575 서인 (西人) 공신 (功臣)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대북파 (大北派) 1623 정사 공신 (靖社功臣)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1644년 1623년 1513년 1506년 1557 이귀 (李貴) 1571 김류 (金瑬) 1587 이괄 (李适) 1462 유자광 (柳子光) 1482 조광조 (趙光祖) 1493 성수침 (成守琛) 1497 백인걸 (白仁傑) 1501 이황 (李滉) 1527 이간 (李幹) 1534 송익필 (宋翼弼)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37 김천일 (金千鎰) 1538 이일 (李鎰) 1542 류성룡 (柳成籠) 1544 조헌 (趙憲) 1545 이순신 (李舜臣) 1546 신립 (申砬) 1548 김여물 (金汝岉) 1556 한교 (韓嶠) 1559 유몽인 (柳夢寅) 1560 이이첨 (李爾瞻) 1563 정엽 (鄭曄) 1573 안방준 (安邦俊) 1574 임해군 (臨海君)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601 김자점 (金自點)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8 광해군 (光海君) 1623 인조 (仁祖)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506 중종 반정 (中宗反正)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낙지가 樂志歌 가사 이서(李緖) (5)
 
◈ 최근등록순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월롱면 영태리에 겨우 세 가구가 사는 동리가 있었으니 그 동명을 공수물이라 한다. 인조반정(仁祖反正)때 이서(李曙) 등 동지들이 모여서 장단으로부터 서울로 쳐 들어갈 때 낙하도(洛河渡)를 건너 옥돌내를 지나 이 곳 공수물에 이르러 우물에서 물을 마시고 갔는데 이 우물을 공수물(供水泉)이라 하였고 또 그 마을을 공수물이라 부르게 되었다.
2024.09.17
【문화】 【파주시청(이야기파주)】덕진산성 마루에 임진강과 가까운 쪽으로 10여평의 평지가 있는데 봉우리가 강가로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어 임진강 경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장소로 이곳에 슬픈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2019.07.16
【학습】 조선 중종 때 이서(李緖)가 지은 가사. 줄글체 기사형식(記寫形式)에 순한문투의 표기이다. 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구이다. 그의 문집 ≪몽한영고 夢漢零稿≫에 전한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