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청백리 (淸白吏)
조선시대 선정을 위해 청렴결백한 관리를 양성하고 장려할 목적으로 실시한 관리 표창제도, 또는 염근리(廉謹吏 : 청렴하고 근면한 관리)와 청백리에 선정된 사람.
◈ 지식지도 관계
청백리 (淸白吏) 김장 기호 학파 (畿湖學派) 어부가 (漁父歌) 주리론 (主理論) 판소리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1575 서인 (西人) 양관 (陽關) 1919년 1624년 1553년 박서생 (朴瑞生) 이영 (李寧) 최만리 (崔萬理) 김순 (金洵) 1333 우현보 (禹玄寶) 1343 최유경 (崔有慶) 1353 길재 (吉再) 1354 이지직 (李之直) 1360 맹사성 (孟思誠) 1390 정척 (鄭陟) 1401 정갑손 (鄭甲孫) 1402 정창손 (鄭昌孫) 1417 박팽년 (朴彭年) 1431 김종직 (金宗直) 1434 허종 (許琮) 1454 정성근 (鄭誠謹) 1458 김전 (金詮) 1467 이현보 (李賢輔) 1486 김정 (金淨) 1491 이언적 (李彦迪) 1497 백인걸 (白仁傑) 1499 이준경 (李浚慶) 14c중 서견 (徐甄) 1501 이황 (李滉) 1504 홍섬 (洪暹) 1509 김취문 (金就文) 1513 정종영 (鄭宗榮) 1516 심수경 (沈守慶) 1518 노진 (盧禛) 1529 최흥원 (崔興源) 1539 최경창 (崔慶昌) 1542 류성룡 (柳成籠) 1547 이원익 (李元翼) 1548 김장생 (金長生) 1552 이광정 (李光庭) 1556 이항복 (李恒福) 1568 최진립 (崔震立) 1570 김상헌 (金尙憲) 1571 이안눌 (李安訥) 1572 김신국 (金藎國) 1572 이명준 (李命俊) 1575 신경진 (申景禛) 1581 김시양 (金時讓) 1581 이시백 (李時白) 1599 이중경 (李重慶) 1603 강백년 (姜栢年) 1693 이정보 (李鼎輔) 1708 윤용 (尹愹) 1902 박열 (朴烈) 1907 김연수 (金演洙) 1911 박영준 (朴榮濬) 1965 이훈 (李薰) 고려 삼은 (高麗三隱) 1082 휘종 (徽宗) 1316 최영 (崔瑩) 1328 이색 (李穡) 1337 정몽주 (鄭夢周) 1346 조준 (趙浚) 1352 권근 (權近) 1389 공양왕 (恭讓王) 1420 서거정 (徐居正) 1455 조선 세조 (世祖) 1478 김안국 (金安國) 1484 이연경 (李延慶) 1493 송순 (宋純) 1515 윤원형 (尹元衡) 1526 정탁 (鄭琢) 1535 성혼 (成渾)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이이 (李珥) 1538 김성일 (金誠一) 1543 정구 (鄭逑) 1545 이순신 (李舜臣) 1601 김자점 (金自點) 1606 송준길 (宋浚吉) 1713 강세황 (姜世晃) 1868 이시영 (李始榮) 1875 이승만 (李承晩) 1878 안창호 (安昌浩) 조지서 (造紙署)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훈구파 (勳舊派) 도산십이곡 1400 제2차 왕자의 난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06 중종 반정 (中宗反正)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574 도산 서원 (陶山書院) (미정의) 강석범 (미정의) 강세구 (미정의) 강숙둘 (미정의) 강열 (미정의) 강유후 (미정의) 강윤권 (미정의) 경의 (미정의) 곽안방 (미정의) 구치관 (미정의) 권빈 (미정의) 기건 (미정의) 김개 (미정의) 김겸관 (미정의) 김광 (미정의) 김덕함 (미정의) 김두남 (미정의) 김몽좌 (미정의) 김무 (미정의) 김쉬 (미정의) 김약묵 (미정의) 김약항 (미정의) 김양진 (미정의) 김우 (미정의) 김은 (미정의) 김종순 (미정의) 김팽령 (미정의) 남이형 (미정의) 노숙동 (미정의) 류겸 (미정의) 류경창 (미정의) 류관 (미정의) 류빈 (미정의) 류상운 (미정의) 류순 (미정의) 류염 (미정의) 류헌 (미정의) 류훈 (미정의) 류흔 (미정의) 류희철 (미정의) 민불탐 (미정의) 민여임 (미정의) 민휘 (미정의) 박강 (미정의) 박민헌 (미정의) 박상 (미정의) 박수량 (미정의) 박신규 (미정의) 박처륜 (미정의) 변훈남 (미정의) 서기순 (미정의) 성세장 (미정의) 성영 (미정의) 성이성 (미정의) 성하종 (미정의) 성형 (미정의) 손중돈 (미정의) 송익견 (미정의) 송정규 (미정의) 송찬 (미정의) 송흠 (미정의) 신공제 (미정의) 신사형 (미정의) 신잠 (미정의) 심의신 (미정의) 심희수 (미정의) 안성 (미정의) 안잠 (미정의) 안종전 (미정의) 안지유 (미정의) 안팽명 (미정의) 안현 (미정의) 양지손 (미정의) 오상 (미정의) 오세한 (미정의) 오억령 (미정의) 우세겸 (미정의) 유언겸 (미정의) 유찬 (미정의) 윤득재 (미정의) 윤부 (미정의) 윤사익 (미정의) 윤석보 (미정의) 윤지인 (미정의) 윤추 (미정의) 윤춘년 (미정의) 윤현 (미정의) 이겸진 (중복) 이기 (미정의) 이기설 (미정의) 이단석 (미정의) 이명 (미정의) 이몽필 (미정의) 이백지 (미정의) 이병태 (미정의) 이상진 (미정의) 이석근 (미정의) 이선장 (미정의) 이세장 (미정의) 이세화 (미정의) 이순 (미정의) 이숭원 (미정의) 이신효 (미정의) 이약동 (미정의) 이언 (미정의) 이우직 (미정의) 이원 (미정의) 이유중 (미정의) 이의필 (미정의) 이제 (미정의) 이제신 (미정의) 이증영 (미정의) 이지 (미정의) 이지은 (미정의) 이직언 (미정의) 이철균 (미정의) 이태영 (미정의) 이태중 (미정의) 이하원 (미정의) 이화 (미정의) 이후정 (미정의) 임보신 (미정의) 임호신 (미정의) 장필무 (미정의) 정매신 (미정의) 정문형 (미정의) 정연 (미정의) 정형복 (중복) 조경 (미정의) 조동 (미정의) 조사수 (미정의) 조석윤 (미정의) 조원기 (미정의) 조치우 (미정의) 주세봉 (미정의) 최관 (미정의) 최명창 (미정의) 최사의 (미정의) 최여립 (미정의) 최유현 (미정의) 표빈 (미정의) 한덕필 (미정의) 한익상 (미정의) 한형윤 (미정의) 허세린 (미정의) 허심 (미정의) 허영 (미정의) 허욱 (미정의) 허잔 (미정의) 홍계방 (미정의) 홍담 (미정의) 홍명하 (미정의) 홍무 (미정의) 홍우량 (미정의) 황효원 (중복) 황희
 
◈ 최근등록순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선조 대왕시절에 영의정 최흥원(崔興源)은 중종 24년 1월 5일 한성부 목멱산하 훈도방(木覓山下薰陶坊)현 정동, 필동부근에서 영천부원군 최수진(寧川府院君 崔秀珍)의 아들로 태어나 기풍이 특이하여 10여세 당시 문사가 대성하여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으며 이준경(李浚慶)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