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1120년
고려 예종 15년
◈ 지식지도 관계
1120년 여진 문자 (女眞文字) 향가 (鄕歌) 서하 (西夏) 12세기 1120년대 1121년 1122년 1123년 1124년 1125년 1126년 1127년 1128년 1129년 1119년 중세 (中世) 1100년대 1110년대 1130년대 1140년대 1150년대 1160년대 1170년대 1190년대 1279년 1130년 1110년 1111년 1112년 1113년 1114년 1115년 1116년 1118년 1115 (金) 907 (遼) 960 (宋) 교황 갈리스토 2세 1061 윤관 (尹瓘) 1075 김부식 (金富軾) 1082 휘종 (徽宗) 1105 예종 (睿宗) 1125 흠종 (欽宗) 1149 최충헌 (崔忠獻) 11c말 이자겸 (李資謙) 877 신숭겸 (申崇謙) 도이장가 (悼二將歌)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1151 정과정곡 (鄭瓜亭曲) 보름스 협약 1126 정강의 변 (靖康--變) 장기 왕조 (중복) 예종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도이장가 悼二將歌 고려가요 고려 예종 (40)
 
◈ 최근등록순
2019.06.08
【학습】 예종이 1120년(예종15) 왕이 서경(西京:平壤)에 행차하여 팔관회(八關會)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金樂)과 신숭겸(申崇謙)의 가상희(假像戱: 가면극)를 보고, 왕이 두 장군에 대한 추모의 정을이기지 못하여 지은 노래이다. 이두식(吏讀式) 표기로 된 향가(鄕歌) 형식의 노래로, 8구체(句體)를 4구씩 2분하여 지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