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8월 19일 (화) (음 윤6월 26일, 庚申) 집계기준 : 2025년 8월 18일
1443년
조선 세종 25년. 12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 지식지도 관계
1443년 1442년 1441년 1440년 1444년 1445년 1446년 1447년 1448년 1449년 15세기 (15世紀) 1440년대 우리나라 완구 (碗口) 천자총통 1380 최해산 (崔海山) 1441 남이 (南怡) 1443 계해 약조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468년 1422년 1425년 1426년 1418년 1407년 비격진천뢰 동차 (動車) 총통 (總筒) 한글 건주여진 총통등록 1345 최무선 (崔茂宣) 1373 이예 (李藝) 1376 최윤덕 (崔潤德) 1390 김종서 (金宗瑞) 1396 정인지 (鄭麟趾) 1409 최항 (崔恒) 1416 권람 (權擥)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20 집현전 (集賢殿)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2 유자광 (柳子光) 1467 이시애의 난 1467 정해서정 1468 예종 (睿宗) 16C말 이장손 1984 국립진주박물관 1468년 1422년 1425년 1426년 1418년 1407년 비격진천뢰 동차 (動車) 총통 (總筒) 한글 건주여진 총통등록 1345 최무선 (崔茂宣) 1373 이예 (李藝) 1376 최윤덕 (崔潤德) 1390 김종서 (金宗瑞) 1396 정인지 (鄭麟趾) 1409 최항 (崔恒) 1416 권람 (權擥)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20 집현전 (集賢殿)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2 유자광 (柳子光) 1467 이시애의 난 1467 정해서정 1468 예종 (睿宗) 16C말 이장손 1984 국립진주박물관 1468년 1422년 1425년 1426년 1418년 1407년 비격진천뢰 동차 (動車) 총통 (總筒) 한글 건주여진 총통등록 1345 최무선 (崔茂宣) 1373 이예 (李藝) 1376 최윤덕 (崔潤德) 1390 김종서 (金宗瑞) 1396 정인지 (鄭麟趾) 1409 최항 (崔恒) 1416 권람 (權擥)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20 집현전 (集賢殿)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2 유자광 (柳子光) 1467 이시애의 난 1467 정해서정 1468 예종 (睿宗) 16C말 이장손 1984 국립진주박물관 1468년 1422년 1425년 1426년 1418년 1407년 비격진천뢰 동차 (動車) 총통 (總筒) 한글 건주여진 총통등록 1345 최무선 (崔茂宣) 1373 이예 (李藝) 1376 최윤덕 (崔潤德) 1390 김종서 (金宗瑞) 1396 정인지 (鄭麟趾) 1409 최항 (崔恒) 1416 권람 (權擥) 1417 강희안 (姜希顔)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개 (李塏)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20 집현전 (集賢殿)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2 유자광 (柳子光) 1467 이시애의 난 1467 정해서정 1468 예종 (睿宗) 16C말 이장손 1984 국립진주박물관 동양 세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훈민정음 해례본 訓民正音 解例本 어문/학습/예술 세종 어제 (2622)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 諺文創制反對上疏文 고전 수필 최만리 등 (72)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