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20일 (일) 穀雨
(음 3월 23일, 己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절(寺)
•
덕수궁(德壽宮)
•
이상(李箱)
•
춘향전(春香傳)
•
김동인(金東仁)
•
오감도(烏瞰圖)
•
정진사전(鄭進士傳)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통도사(通度寺)
•
신윤복(申潤福)
•
나옹(懶翁)
•
이차돈(異次頓)
•
정지용(鄭芝溶)
•
최서해(崔曙海)
•
김영랑(金永郞)
•
구인회(九人會)
•
포의교집(布衣交集)
•
춘향가(春香歌)
•
경상 남도(慶尙南道)
•
용부가(庸婦歌)
▣
공손룡 (公孫龍)
바로가기
[B.C. 320 ~ B,C. 250] 기원전 3세기 중국 조(趙)의 문인(文人)이다. 자는 자병(子秉).
인물
:
[B.C. 320 ~ B,C. 250] 기원전 3세기 중국 조(趙)의 문인(文人)이다. 자는 자병(子秉).
그의 계몽적 궤변(詭辯)으로써 유명한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 견백이동론(堅白異同論) 등에 보이는 논리는 사물의 외관과 본체를 혼동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한 것으로, 단순한 궤변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정치도(政治道)의 경고로서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숨기기]
공손룡
(公孫龍)
[B.C. 320 ~ B,C. 250] BC 3세기 중국 조(趙)의 문인(文人)이다. 자는 자병(子秉).
백마비마론(白馬非馬論), 견백이동론(堅白異同論) 등에
보이는 논리는 사물의 외관과 본체를 혼동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한 것
단순한 궤변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정치도(政治道)의 경고로서 쓰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 지식지도
관계
공손룡
(公孫龍)
명가
(名家)
제자 백가
(諸子百家)
•
중국 철학(中國哲學, Chinese philosophies)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공손룡자
公孫龍子
인문/사회과학
(18)
◈ 최근등록순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02.22
◈
평원군, 낭중지추 주인공 마오쑤이와 사군자 ‘식솔정치’
【문화】
모수자천(毛遂自薦) 답사 광푸고성 남문 5리 떨어진 곳에는 고사성어 모수자천(毛遂自薦)으로 유명한 마오쑤이(毛遂)의 묘가 있다. 마오쑤이가 살던 시기는 지금부터 225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오쑤이가 어떤 인물이기에 낭중지추(囊中之錐), 탈영이출(脱颖而出), 이 이엔 지우 띠잉(一言九鼎)이란 고사성어가 생겨났을가? 이천 년이 지났는데도 마오쑤이의 고사를 인용하는지 몹시 궁금해 문헌을 찾아보았다.
0
|
조
,
허베이성
,
공손룡
,
한단시
,
광푸 고성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