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난중일기(亂中日記)
•
시경(詩經)
•
숙향전(淑香傳)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서울 특별시
•
이순신(李舜臣)
•
이상(李箱)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날개(-)
•
혜경궁 홍씨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상춘곡(賞春曲)
•
강원도(江原道)
•
황석우(黃錫禹)
▣
민옹전 (閔翁傳)
바로가기
1757년(영조 33)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전기(傳記).
작품
:
1757년
(영조 33)
박지원(朴趾源)
이 지은 한문 전기(傳記).
실존 인물인
민유신(閔有信)
이 죽은 뒤에 그가 남긴 몇 가지 일화와 작자 스스로 민유신을 만나 겪었던 일들을 엮고 뇌(誄 : 죽은 사람의 생전의 공덕을 기리는 글)를 붙인 전기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방경각외전 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숨기기]
민옹전
(閔翁傳)
1757년(영조 33)
박지원(朴趾源)
이 지은 한문 전기(傳記).
실존 인물인 민유신(閔有信)이 죽은 뒤에 그가 남긴 몇 가지 일화와
작자 스스로 민유신을 만나 겪었던 일들을 엮고
뇌(誄)를 붙인 전기이다.
『연암별집 燕巖別集』「방경각외전 放璚閣外傳」에 실려 있다.
◈ 지식지도
관계
민옹전
(閔翁傳)
북학파
(北學派)
실학
(實學)
1757년
18세기
(18世紀)
1750년대
1780년
1750년
1751년
1752년
1753년
1754년
1755년
1756년
1758년
1759년
1737
박지원
(朴趾源)
1703
박사유
(朴師愈)
1725
박명원
(朴明源)
1741
이덕무
(李德懋)
1749
유득공
(柳得恭)
1750
박제가
(朴齊家)
1754
이서구
(李書九)
1757
무스타파 3세
1780
박종채
(朴宗采)
1807
박규수
(朴珪壽)
1821
박선수
(朴瑄壽)
연암집
(燕巖集)
양반전
(兩班傳)
열하일기
(熱河日記)
허생전
(許生傳)
호질
(虎叱)
예덕선생전
과농소초
(課農小抄)
(미정의)
민유신
•
두껍전(----傳)
•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민옹전
閔翁傳
고전 소설
박지원
(142)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