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겸재정선미술관
•
오륜가(五倫歌)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서울 특별시
•
이순신(李舜臣)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상(李箱)
•
만복사저포기
•
사서율곡언해
•
조용조(租庸調)
•
날개(-)
•
시경(詩經)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창랑정기(滄浪亭記)
▣
흑비둘기 (黑----)
바로가기
비둘기과에 딸린 새. 몸길이는 38cm 가량이고, 몸색깔은 자주색이나 녹색의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우리 나라의 울릉도 남면 후박나무가 자라는 곳에서 살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자연계
:
자연 > 동물
비둘기과에 딸린 새. 몸길이는 38cm 가량이고, 몸색깔은 자주색이나 녹색의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부리는 어두운 청색이고, 다리는 붉은색이다. 5~6월에 알을 1개 낳는다.
우리 나라의
울릉도
남면 후박나무가 자라는 곳에서 살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울릉도 사동의 흑비둘기 서식지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흑비둘기
(黑----)
깃털
동물
(動物)
동물계
(動物界)
부리
생물 분류
(生物分類)
천연 기념물
철새
통신
(通信)
울릉도
(鬱陵島)
울릉군
(鬱陵郡)
1922
백조
(白潮)
비둘기
새
가마우지
갈매기
기러기
노랑부리저어새
논병아리
독수리
두루미
(鶴)
따오기
딱따구리
뜸부기
매
물수리
물총새
박새
뻐꾸기
슴새
아비
앵무새
(鸚鵡--)
오리
올빼미
왜가리
제비
종다리
참새
척색동물
(脊索動物)
척추동물
(脊椎動物)
칠면조
(七面鳥)
칼새
타조
(駝鳥)
텃새
펭귄
(penguin)
해오라기
황새
울릉도 사동의 흑비둘기 서식지
•
동물 천연기념물
•
사수도 해조류 번식지
◈ 최근등록순
궁인창의 지식창고
>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10.14
◈
홍순칠 대장 수기에 흑비들기 운용 기록...천연기념물 237 지정돼 여름엔 사동항 서식
【문화】
제17회 동해왕 이사부 항로탐사 (13) - 독도의용수비대와 비둘기 1 독도의용수비대 홍순칠(1929~1986) 대장은 독도의용수비대가 해산되고 나서 대원들을 모아 ‘독도의용수비대 동지회’를 결성했다. 그는 독도개발계획을 세우고, ‘푸른 독도 가꾸기회’ 를 설립하는데 앞장을 섰다.
1
|
독도
,
비둘기
,
흑비둘기
,
독도의용수비대
,
홍순칠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Sasu-do, the hometown of black wood pigeon and shearwaters
[자연] (0)
흑비둘기와 슴새의 고향, 사수도
[여행 > 국내여행]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