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7일 (수)
(음 4월 10일, 丙子)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만세전(萬歲前)
•
정지용(鄭芝溶)
•
염상섭(廉想涉)
•
난중일기(亂中日記)
•
소학(小學)
•
현대문학(現代文學)
•
날개(-)
•
이태준(李泰俊)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임실군(任實郡)
•
채만식(蔡萬植)
•
옥소전(玉簫傳)
•
임화(林和)
•
시(詩)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소설(小說)
•
박태원(朴泰遠)
•
달밤( )
▣
훈몽자회 (訓蒙字會)
바로가기
(3권 1책, 목판본) 1527년(중종 22년)에 최세진이 지은 한자 학습서.
작품
:
유물 > 고도서
(3권 1책, 목판본)
1527년
(중종 22년)에
최세진
이 지은 한자 학습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종래의 《
천자문
》이나 《
유합(類合)
》 등은 일상 생활과 거리가 먼 고사와 추상적인 내용이 많아 어린이 학습서로서는 알맞지 않아서 이를 보충하는 뜻에서 엮은 책이다.
상·중·하 3권으로 나누어 한자 3,360자에 한글로 음과 훈(뜻)을 달고, 책머리의 범례에는 한글 자모의 이름과 차례를 정하였다.
고어
및
국어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숨기기]
훈몽자회
(訓蒙字會)
1527년(중종 22년)에
최세진
이 지은 한자 학습서.
3권 1책. 목판본
고어 및 국어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
◈ 지식지도
관계
훈몽자회
(訓蒙字會)
1527
국어학
(國語學)
서당
(書堂)
1527년
16세기
(16世紀)
1520년대
1576년
1520년
1521년
1522년
1523년
1524년
1525년
1526년
1528년
1529년
1473
최세진
(崔世珍)
1471
남곤
(南袞)
1478
김안국
(金安國)
1506
조선 중종
(中宗)
1509
헨리 8세
1513
유희춘
(柳希春)
1519
카를 5세
1543
한호
(韓濩)
16C초
어숙권
(魚叔權)
천자문
(千字文)
1576
신증유합
(新增類合)
사성통해
(四聲通解)
(미정의)
고어
•
자전석요(字典釋要)
•
국어문전음학
•
한자교육(漢字敎育)
•
백련초해(百聯抄解)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훈몽자회
訓蒙字會
어문/학습/예술
최세진
(358)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