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일 (목)
(음 6월 9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날개(-)
•
이상(李箱)
•
태평천하(太平天下)
•
칠언 율시(七言律詩)
•
김동인(金東仁)
•
김유정(金裕貞)
•
주역(周易)
•
한시(漢詩)
•
무진기행(霧津紀行)
•
행주 산성(幸州山城)
•
한림별곡(翰林別曲)
•
기자(箕子)
•
운수 좋은 날
•
흥보가(興甫歌)
•
수종사(水鍾寺)
•
옥소전(玉簫傳)
•
오발탄(誤發彈)
•
1925년
•
난설헌집(蘭雪軒集)
•
만세전(萬歲前)
▣
홍순학 (洪淳學)
바로가기
[1842 ~ ?] 조선 말기의 문장가. 1857년(철종 8년) 문과에 급제, 정언·수찬을 거쳐 1866년(고종 3년)에 주청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장편의 기행 가사인 《연행가》를 지었다.
인물
:
인물 > 한국
[1842 ~ ?] 조선 말기의 문장가. 1857년(철종 8년) 문과에 급제, 정언·수찬을 거쳐 1866년(고종 3년)에 주청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장편의 기행 가사인 《
연행가
》를 지었다.
대사헌· 대사간·예조 참의를 지냈으며, 그 뒤에 협판 교섭 통상 사무가 되었다.
[숨기기]
홍순학
(洪淳學)
[1842 ~ ?] 조선 말기의 문장가.
1857년(철종 8년) 문과에 급제
1866년(고종 3년)에 주청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장편의 기행 가사인 《
연행가
》를 지었다.
대사헌· 대사간·예조 참의를 지냈으며,
그 뒤에 협판 교섭 통상 사무가 되었다.
◈ 지식지도
관계
홍순학
(洪淳學)
1842
가사
(歌辭)
기행가사
1707
김인겸
(金仁謙)
1866
연행가
(燕行歌)
1763
일동장유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연행가
燕行歌
가사
홍순학
(152)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가사∙개화가사
2019.07.18
◈
연행가(燕行歌)
【학습】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6 (+2)
|
가사
,
연행가
,
홍순학
,
1866년
,
기행가사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