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4일 (일)
(음 4월 7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시경(詩經)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옥소전(玉簫傳)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춘향전(春香傳)
•
김기림(金起林)
•
이광수(李光洙)
•
김동인(金東仁)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
윤동주(尹東柱)
•
서울 특별시
•
김홍도(金弘道)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신윤복(申潤福)
•
태평천하(太平天下)
•
조선문학가동맹
•
무정(無情)
•
채만식(蔡萬植)
•
구운몽(九雲夢)
▣
향학 (鄕學)
바로가기
고려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 중앙의 국립 교육 기관인 국자감을 축소한 형태로, 1127년(인종 5년)에 지방 각지에 세워 지방 문화의 향상에 이바지하였다.
기관/단체
:
단체 > 한국사 > 관청
고려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 중앙의 국립 교육 기관인
국자감
을 축소한 형태로, 1127년(인종 5년)에 지방 각지에 세워 지방 문화의 향상에 이바지하였다.
987년(성종 6년)에 12목을 두고 경학 박사, 의학 박사 각 한 사람씩을 파견한 것이 고려 시대 지방 교육의 시초였다.
992년( 성종 11년)에는 지방 주·군에 학교를 세웠고, 그것이 발달하여 향학이 세워지게 되었다.
[숨기기]
향학
(鄕學)
고려 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조선 :
향교
)
중앙의 국립 교육기관
국자감
을 축소한 형태
1127년(인종 5년)에 지방 각지에 세워짐.
◈ 지식지도
관계
향학
(鄕學)
향교
(鄕校)
국자학
(國子學)
사문학
(四門學)
서원
(書院)
성균관
(成均館)
국자감
(國子監)
태학
(太學)
함평 향교
(咸平鄕校)
용궁향교
(龍宮鄕校)
동래향교
1394
황간향교
1398
흥해 향교
1398
예천향교
1407
평해향교
1411
양천 향교
(陽川鄕校)
1420
남평 향교
1773
지평향교
1127
교동 향교
(喬桐鄕校)
1397
남양 향교
1398
과천향교
(果川鄕校)
1410
남원 향교
1413
임실향교
(任實鄕校)
1414
부안향교
1415
단양 향교
1437
함열향교
(咸悅鄕校)
•
고려(高麗)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