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8월 16일 (토)
(음 윤6월 23일, 丁巳)
집계기준 : 2025년 8월 1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절이도 해전
•
장문포 해전
•
정언신(鄭彦信)
•
선거이(宣居怡)
•
고석정(孤石亭)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이순신(李舜臣)
•
이충무공전서
•
두사충(杜師忠)
•
1493년
•
정걸(丁傑)
•
트레팍(trepak)
•
진린(陳璘)
•
정탁(鄭琢)
•
흥성시(興城市)
•
고금도(古今島)
•
마하수(馬河秀)
•
김동인(金東仁)
•
동정 성모회
•
언해(諺解)
▣
해가사 (海歌辭)
바로가기
신라 선덕왕 때의 가요. 작자와 제작 연대가 미상이며, 『해가』라고도 한다.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가요
신라
선덕왕
때의 가요. 작자와 제작 연대가 미상이며, 『해가』라고도 한다.
순정공
이 강릉 태수로 부임하는 도중 아내
수로부인
이 바다의 용에게 납치되어 가자, 그 곳 백성들이 막대기로 언덕을 치며 이 노래를 부르니 부인을 돌려보냈다는 내용이다.
《삼국유사》에 한역시와 유래가 실려 전하는데, 내용과 주제가 《
구지가
》와 비슷하다. 다만 《구지가》는 4구체인데 《해가》는 8구체이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해가사
(海歌辭)
고전 문학
(古典文學)
고대 가요
(古代歌謠)
강릉시
(江陵市)
780
선덕왕
(宣德王)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수로부인
구지가
(龜旨歌)
(미정의)
순정공
가사
(歌辭)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고려 가요
(高麗歌謠)
내원성가
단군 신화
(檀君神話)
삼국 시대
시조
(時調)
연양가
(延陽歌)
한국 문학
(韓國文學)
향가
(鄕歌)
780년
1206
일연
(一然)
1274
충렬왕
(忠烈王)
149
김수로왕
(金首露王)
756
혜공왕
(惠恭王)
785
원성왕
(元聖王)
8c중
김지정
(金志貞)
공무도하가
대악
(碓樂)
지리산가
헌화가
(獻花歌)
황조가
(黃鳥歌)
회소곡
(會蘇曲)
치술령곡
선운산가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760
도솔가
(兜率歌)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780
김지정의 난
정읍사
(井邑詞)
•
고시(古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해가사
海歌詞
고대가요
(47)
◈ 참조 원문/전문
삼국유사 기이편 수로부인
三國遺事 紀異篇 水路夫人
한국역사
일연
(9)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고대시가
2019.06.02
◈
해가(海歌)
【학습】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한역가(漢譯歌)가 노래의 내력과 함께 전한다.
16
|
해가사
,
고대가요
,
신라가요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