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0일 (수)
(음 윤6월 6일, 庚子)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1510년
•
백범김구기념관
•
사랑 손님과 어머니
•
이순신(李舜臣)
•
흉배(胸背)
•
1517년
•
신계영(辛啓榮)
•
명심보감(明心寶鑑)
•
마르틴 루터
•
민요(民謠)
•
여수 진남관
•
소나기
•
이무영(李無影)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죽부인전(竹夫人傳)
•
똥(-)
•
우장춘(禹長春)
•
묘향산보현사지기
•
통도사(通度寺)
•
석보상절(釋譜詳節)
▣
크낙새 (-)
바로가기
딱따구리과에 딸린 새. 몸길이는 45cm 가량이고, 몸색깔은 등, 멱, 윗가슴이 검은색이며, 나머지 아래쪽과 허리는 흰색이다. 고목이 우거진 숲의 나무 구멍에서 살며, 5~6월에 한배에 3~4개의 알을 낳는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자연계
:
자연 > 동물
딱따구리과에 딸린 새. 몸길이는 45cm 가량이고, 몸색깔은 등, 멱, 윗가슴이 검은색이며, 나머지 아래쪽과 허리는 흰색이다. 고목이 우거진 숲의 나무 구멍에서 살며, 5~6월에 한배에 3~4개의 알을 낳는다.
동남 아시아의 텃새이나 현재는 우리 나라에만 남아 있는 희귀한 새이다.
천연 기념물
제197호로, 크낙새가 살고 있는
광릉
의 서식지는
천연 기념물
제11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크낙새
(-)
천연 기념물
가축 천연 기념물
기념물
(記念物)
깃털
동물
(動物)
동물계
(動物界)
문화재
(文化財)
부리
생물 분류
(生物分類)
철새
남양주시
(南楊州市)
포천시
(抱川市)
국립수목원
1922
백조
(白潮)
딱따구리
새
가마우지
갈매기
기러기
노랑부리저어새
논병아리
독수리
두루미
(鶴)
따오기
뜸부기
매
물수리
물총새
박새
비둘기
뻐꾸기
슴새
아비
앵무새
(鸚鵡--)
오리
올빼미
왜가리
제비
종다리
참새
척색동물
(脊索動物)
척추동물
(脊椎動物)
칠면조
(七面鳥)
칼새
타조
(駝鳥)
텃새
펭귄
(penguin)
해오라기
황새
광릉
(光陵)
동물 천연기념물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포천의 설화
2024.10.22
◈
(10) 와이료
【문화】
‘와이료’라는 얘기가 일본말이 아니다. 숙종 때, 한 선비가 과거를 보러 가다가 저녁이 되어 하루 저녁 묵어가려고 외딴 집을 찾아갔다. 그 집에서 불빛이 새어 나오는데 주인을 불러도 인기척이 없었다. 선비가 찢어진 문구멍으로 들여다보는데 한 선생이 글을 읽고 있었다. 문을 두드리고 들어가 하룻밤을 쉬어가자 청하였더니 쾌히 승낙하였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1
|
개구리
,
설화
,
크낙새
,
포천시
,
와이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