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0일 (수)
(음 윤6월 6일, 庚子)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1510년
•
백범김구기념관
•
사랑 손님과 어머니
•
이순신(李舜臣)
•
1517년
•
흉배(胸背)
•
조신 설화(調信說話)
•
1770년대
•
황순원(黃順元)
•
마르틴 루터
•
명심보감(明心寶鑑)
•
춘향전(春香傳)
•
민요(民謠)
•
여수 진남관
•
소나기
•
이무영(李無影)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죽부인전(竹夫人傳)
•
우장춘(禹長春)
•
1519년
▣
최무선 (崔茂宣)
바로가기
[? ~ 1395] 고려 말기의 장군, 발명가. 일찍부터 화약 연구에 몰두하던 중 화약 기술자인 원나라의 이원(李元)에게서 그 제조법을 배웠다. 1377년에 정부에 화통 도감을 설치하도록 건의하고, 화약을 만들면서 대장군·이장군·석포·화포· 신포· 화통· 화전 등의 각종 무기를 만들었다.
인물
:
인물 > 한국
[? ~ 1395] 고려 말기의 장군, 발명가. 일찍부터 화약 연구에 몰두하던 중 화약 기술자인 원나라의 이원(李元)에게서 그 제조법을 배웠다.
1377년
에 정부에
화통 도감
을 설치하도록 건의하고, 화약을 만들면서 대장군·이장군·석포·화포· 신포· 화통· 화전 등의 각종 무기를 만들었다.
1380년
에 왜구가 쳐들어오자 부원수가 되어, 그 화기들을 사용하여 적함 500여 척을 전멸시켜 그 공으로 영성군(永城君)에 봉해졌다.
1392년에 조선이 개국하자 여러 벼슬을 지냈다. 세상을 떠난 뒤에 우의정의 벼슬이 내려졌고, 영성 부원군에 봉해졌다.
저서에 《화약수련법》 《화포법》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최무선
(崔茂宣)
1345
왜구
(倭寇)
1380년
1377년
1380
최해산
(崔海山)
1376
최윤덕
(崔潤德)
화통 도감
총통등록
•
심덕부(沈德符)
•
진포 대첩(鎭浦大捷)
•
황산 대첩(荒山大捷)
•
왜구의 침입
•
대마도 정벌
•
무기(武器)
•
신기전(神機箭)
◈ 최근등록순
임실문화원의 지식창고
>
황산대첩 진군로
2023.12.26
◈
1. 진포(鎭浦)서 화포 맞은 왜구 우왕좌왕
【향토】
우왕6년 (1380년) 8월에 경상도 원수 우인열은 고려 조정에 급히 아뢰기를 ‘나졸의 말에 따르면 왜구들이 대마도로부터 바다를 덮고 밀려오는데 돛대가 잇달았다 하오니 조저원수를 급히 보내 주십시오’ 라고 하였다.
2 (+3)
|
최무선
,
조선 태조
,
황산 대첩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진포대첩 승리를 이끈 최무선의 화포 - 영상한국사 (133)
[역사 > 한국역사] (0)
왜구, 500척의 배를 이끌고 고려를 침략하다 - 영상한국사 (132)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