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상(李箱)
•
시경(詩經)
•
서울 특별시
•
날개(-)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이순신(李舜臣)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논어(論語)
•
김기림(金起林)
•
북천가(北遷歌)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설화(說話)
•
제주특별자치도
•
용부가(庸婦歌)
•
가사(歌辭)
•
옥소전(玉簫傳)
•
겸재정선미술관
•
단심가(丹心歌)
▣
조희룡 (趙熙龍)
바로가기
[1797 ~ 1859] 조선 후기의 서화가. 글씨와 그림에 뛰어나 글씨로는 김정희의 추사체를 잘 썼고, 그림은 매화를 잘 그렸다.
인물
:
인물 > 한국
[1797 ~ 1859] 조선 후기의 서화가. 호는 호산(壺山), 우봉(又峯), 철적(鐵笛)이다. 진주에서 태어나 1813년에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오위장을 지냈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나 글씨로는
김정희
의 추사체를 잘 썼고, 그림은
매화
를 잘 그렸다. 그림으로 《동파입극도》 《홍매도》 《수묵산수도》 등이 있다.
저서 :
호산외기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조희룡
(趙熙龍)
1797
1786
김정희
(金正喜)
매화
(梅花)
고증학
(考證學)
남종화
(南宗畵)
사군자
(四君子)
실학
(實學)
진경 산수화
추사체
(秋史體)
위항문학
시사
(詩社)
1853년
1844년
1847년
1748년
1712
최북
(崔北)
1791
유최진
(柳最鎭)
1791
이기복
(李基福)
1668
윤두서
(尹斗緖)
1676
정선
(鄭敾)
1707
심사정
(沈師正)
1713
강세황
(姜世晃)
1733
옹방강
(翁方綱)
1740
이언진
(李彦瑱)
1745
김홍도
(金弘道)
1745
이인문
(李寅文)
1750
박제가
(朴齊家)
1754
김득신
(金得臣)
1762
조수삼
(趙秀三)
1766
김노경
(金魯敬)
최경흠
(崔景欽)
오창렬
(吳昌烈)
유학영
(柳學永)
1804
이상적
(李商迪)
1807
박규수
(朴珪壽)
1808
정지윤
(鄭芝潤)
1809
문조
(文祖)
1814
이경민
(李慶民)
1820
강위
(姜瑋)
1820
흥선 대원군
1827
유숙
(劉淑)
1828
나기
(羅岐)
1829
유재소
(劉在韶)
1831
오경석
(吳慶錫)
1852
지운영
(池雲英)
1847
벽오사
(碧梧社)
1853
직하시사
1786
송석원시사
비연시사
1876
육교시사
1844
호산외기
완당 세한도
이향견문록
국화
(菊花)
난초
(蘭草)
매화나무
•
김수철(金秀哲)
•
전기(田琦)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A) 기본 자료
기본 자료
[풍경화] 벽오사소집도
유숙(劉淑) (1861년)
(5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