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일 (목)
(음 6월 9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날개(-)
•
이상(李箱)
•
태평천하(太平天下)
•
칠언 율시(七言律詩)
•
김동인(金東仁)
•
김유정(金裕貞)
•
주역(周易)
•
한시(漢詩)
•
무진기행(霧津紀行)
•
행주 산성(幸州山城)
•
기자(箕子)
•
한림별곡(翰林別曲)
•
흥보가(興甫歌)
•
운수 좋은 날
•
수종사(水鍾寺)
•
옥소전(玉簫傳)
•
오발탄(誤發彈)
•
1925년
•
난설헌집(蘭雪軒集)
•
만세전(萬歲前)
▣
정서 (鄭敍)
바로가기
[? ~ ?] 고려 중기의 문인. 호는 과정(瓜亭)이며, 내시랑중의 벼슬을 지냈다.
인물
:
인물 > 한국
[? ~ ?] 고려 중기의 문인. 호는 과정(瓜亭)이며, 내시랑중의 벼슬을 지냈다.
문장이 뛰어나
인종
의 신임을 받았다.
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의종
을 잘 받들었으나,
정함
과
김중손
등의 모함으로 동래로 귀양을 가 그 곳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노래로 읊었다.
그것이 「
정과정곡
」으로 한글로 전하는
고려 가요
중 지은이가 확실한 유일한 작품이다.
1170년에 명종이 왕위에 오르자 귀양살이에서 풀려 다시 벼슬에 올랐다.
그는 묵화로 대나무 그림을 잘 그렸으며, 저서에 《과정잡서》가 있다.
[숨기기]
정서
(鄭敍)
[? ~ ?] 고려 중기의 문인.
호는 과정(瓜亭)이며, 내시랑중의 벼슬을 지냈다.
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의종을 잘 받들었으나,
정함과 김중손 등의 모함으로
동래로 귀양을 가 그 곳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노래로 읊었다.
《
정과정곡
》으로
한글로 전하는 고려 가요 중 지은이가 확실한 유일한 작품이다.
1170년에 명종이 왕위에 오르자 귀양살이에서 풀려 다시 벼슬에 올랐다.
◈ 지식지도
관계
정서
(鄭敍)
12c초
고려 가요
(高麗歌謠)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한국 문학
(韓國文學)
향가
(鄕歌)
1170년
1151년
1145년
1135년
1122년
1126년
918
고려
(高麗)
1123
고려 인종
(仁宗)
1146
고려 의종
(毅宗)
1067
최사전
(崔思全)
1075
김부식
(金富軾)
1085
묘청
(妙淸)
1094
척준경
(拓俊京)
1101
정습명
(鄭襲明)
1105
예종
(睿宗)
1106
정중부
(鄭仲夫)
1123
김보당
(金甫當)
1146
이의민
(李義旼)
1170
명종
(明宗)
11c말
이자겸
(李資謙)
1287
이제현
(李齊賢)
1151
정과정곡
(鄭瓜亭曲)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가시리
사모곡
(思母曲)
상저가
(相杵歌)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樂章歌詞)
정석가
(鄭石歌)
청산별곡
(靑山別曲)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1170
정중부의 난
1173
김보당의 난
(미정의)
김중손
(미정의)
정함
•
유배 가사(流配歌辭)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정과정
鄭瓜亭
고려가요
정서
(306)
◈ 최근등록순
거제문화원의 지식창고
>
거제 역사의 남겨진 이야기
2024.09.05
◈
010. 고려 왕족들의 거제도 유배, 그 이후는?
【문화】
고려시대 거제도는 수도 개경에서 최남단 도서지방으로서 변방이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그러한 지리적 위치에 의해 거제도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왕족과 지배계층의 정치적 유배지 중 하나였다. 고려시대~조선시대에 왜 거제도를 유배지로 정하였을까? 앞서 말했듯이 고려시대 개경 중심에서 보았을 때 가장 거리가 먼 서남부 도서지역을 유배지로 정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9 (+2)
|
거제도
,
거제시
,
고려
,
정과정곡
,
정서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