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29일 (화)
(음 윤6월 5일, 己亥)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도화원기(桃花源記)
•
채만식(蔡萬植)
•
우장춘(禹長春)
•
현진건(玄鎭健)
•
강촌별곡(江村別曲)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
이순신(李舜臣)
•
일리아드(Iliad)
•
전우치전(田禹治傳)
•
독 짓는 늙은이
•
박인환(朴寅煥)
•
김유정(金裕貞)
•
프란츠 카프카
•
1510년
•
소크라테스의 변론
•
논 이야기( )
•
광복절(光復節)
•
논어(論語)
•
자경별곡(自警別曲)
▣
이자겸 (李資謙)
바로가기
[? ~ 1126] 고려 인종 때의 문신.
인물
:
인물 > 한국
[? ~ 1126] 고려 인종 때의 문신.
예종 3년(1108년)에 둘째 딸이
예종
의 왕비가 되어 소성군 개국백에 봉해졌다.
1122년
에 예종이 죽자 왕위를 탐내던 예종의 왕제들을 물리치고, 어린 태자(뒤의 인종)를 왕위에 오르게 하여 양절익명 공신이 되어, 권세를 한손에 쥐게 되었다.
그는 다시 자기의 셋째와 넷째 딸을
인종
의 왕비로 삼게 함으로써 권력을 강화했고, 벼슬자리를 팔아 돈을 모으는 등 부정한 짓을 일삼았다.
인종 4년(
1126년
)에 상장군 최탁 등이 그를 체포하려고 하자 그들을 모두 죽여 버리고, 오히려 왕을 독살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뒤에
척준경
에게 붙잡혀 영광으로 귀양가 있다가 죽었다.
이 사건을 ‘
이자겸의 난
’이라 한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자겸
(李資謙)
11c말
11c중
이호
(李顥)
11c초
이자연
(李子淵)
11c말
이자량
(李資諒)
1034
최사추
(崔思諏)
동북 9성
여진 정벌
반란
(叛亂)
1122년
1126년
1145년
1135년
1120년
1119년
1104년
1107년
1050년
1047년
1024년
918
고려
(高麗)
1094
척준경
(拓俊京)
1105
예종
(睿宗)
1123
고려 인종
(仁宗)
1010
고려 현종
(顯宗)
1038
혜덕
(慧德)
1046
고려 문종
(文宗)
1055
오연총
(吳延寵)
1061
윤관
(尹瓘)
1066
왕자지
(王字之)
1067
최사전
(崔思全)
1075
김부식
(金富軾)
1085
묘청
(妙淸)
1085
정지상
(鄭知常)
1095
고려 숙종
(肅宗)
1146
고려 의종
(毅宗)
최유길
(崔惟吉)
11c중
이의
(李顗)
877
신숭겸
(申崇謙)
984
최충
(崔沖)
9c말
김낙
(金樂)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도이장가
(悼二將歌)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
이지미(李之美)
•
김정준(金廷俊)
•
정극영(鄭克永)
•
홍관(洪灌)
•
김인존(金仁存)
•
김안(金安)
•
문공인(文公仁)
•
문공유(文公裕)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이자겸의 난 이후의 처리 - 영상한국사 (041)
[역사 > 한국역사] (0)
인종, 이자겸과 척준경의 갈등을 이용하다 - 영상한국사 (040)
[역사 > 한국역사] (0)
이자겸, 문무신 인사권을 장악하다 - 영상한국사 (039)
[역사 > 한국역사] (0)
군신 관계이자 가족 관계, 인종과 이자겸 - 영상한국사 (038)
[역사 > 한국역사] (0)
이자겸, 외손자 인종에게 기습을 당하다 - 영상한국사 (037)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