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5일 (토)
(음 6월 11일, 乙亥)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스자좡시(石家庄市)
•
한시(漢詩)
•
날개(-)
•
백제(百濟)
•
수단 3용액
•
주역(周易)
•
설공찬전(薛公瓚傳)
•
사미인곡(思美人曲)
•
도산 서원(陶山書院)
•
닝보시(宁波市)
•
조선 8대 문장가
•
와이오밍 주
•
김소월(金素月)
•
오발탄(誤發彈)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한림별곡(翰林別曲)
•
팜파스(Pampas)
•
시조(時調)
•
패티케이크 폴카
•
오언 고시(五言古詩)
▣
이귀 (李貴)
바로가기
[1557 ~ 1633]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묵재(默齋)이고,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왕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란하여 청나라와의 화의를 주장하다가 비난을 받았다.
인물
:
인물 > 한국
[1557 ~ 1633]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묵재(默齋)이고,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1582년(선조 15년)에 생원이 되고, 강릉 참봉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때 삼도 소모관·삼도 선유관으로 있었다.
1603년에 문과에 급제, 형조 좌랑· 안산 군수· 양재 도찰방 등을 지냈다.
그 뒤 평산 부사가 되었을 때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한탄하여 1623년
김유
와 함께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왕위에 올렸다. 그 공으로 1등 공신이 되고 연평 부원군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왕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란하여 청나라와의 화의를 주장하다가 비난을 받았다.
죽은 뒤 영의정의 벼슬이 내렸다.
저서에 《묵재일기》, 편저에 《한음공 언행록》 등이 있다.
[숨기기]
이귀
(李貴)
[1557 ~ 1633]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묵재(默齋)이고,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1582년(선조 15년)에 생원이 되고, 강릉 참봉을 거쳐
1592년
임진왜란
때 삼도 소모관·삼도 선유관으로 있었다.
1603년에 문과에 급제, 형조 좌랑· 안산 군수· 양재 도찰방 등을 지냈다.
그 뒤 평산 부사가 되었을 때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한탄하여
1623년
김유
와 함께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왕위에 올렸다.
그 공으로 1등 공신이 되고 연평 부원군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왕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란하여
청나라와의 화의를 주장하다가 비난을 받았다.
저서에 《묵재일기》, 편저에 《한음공 언행록》 등이 있다.
◈ 지식지도
관계
이귀
(李貴)
1557
1623
정사 공신
(靖社功臣)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여진족
(女眞族)
대북파
(大北派)
1575
서인
(西人)
1368
명
(明)
1623년
1624년
1627년
1592년
1598년
1616
후금
(後金)
1636
청
(淸)
1571
김류
(金瑬)
1581
이시백
(李時白)
1534
송익필
(宋翼弼)
1535
성혼
(成渾)
1535
정인홍
(鄭仁弘)
1536
이이
(李珥)
1537
권율
(權慄)
1538
김성일
(金誠一)
1538
이일
(李鎰)
1545
이순신
(李舜臣)
1547
이원익
(李元翼)
1548
김장생
(金長生)
1548
김여물
(金汝岉)
1554
김시민
(金時敏)
1556
이항복
(李恒福)
1560
이이첨
(李爾瞻)
1561
이덕형
(李德馨)
1567
선조
(宣祖)
1574
임해군
(臨海君)
1577
이입
(李立)
1580
이서
(李曙)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87
이괄
(李适)
1601
김자점
(金自點)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8
광해군
(光海君)
1623
인조
(仁祖)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592
경주 전투
(慶州戰鬪)
1592
진주성 전투
1592
한산도 대첩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
송이창(宋爾昌)
•
기자헌(奇自獻)
•
윤황(尹煌)
•
이유림(李有林)
•
이매창(李梅窓)
•
신경진(申景禛)
•
심기원(沈器遠)
•
신경인(申景禋)
•
심기원 옥사
•
세검정(洗劍亭)
•
공서(功西)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술값 외상
근/현대 소설
김동인
(5)
예순과 불교
근/현대 수필
김동인
(2)
단발 여탐정
斷髮 女探偵
근/현대 소설
차상찬
(2)
이귀의 여 예순
李貴女 禮順
근/현대 수필
차상찬
(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