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8월 23일 (토)
(음 7월 1일, 甲子)
집계기준 : 2025년 8월 1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박영(朴英)
•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
루 쉰([魯迅])
•
블라디보스토크
•
정지용(鄭芝溶)
•
동양척식주식회사
•
이매창(李梅窓)
•
당의(唐衣)
•
은애전(銀愛傳)
•
조선 고종(高宗)
•
한복(韓服)
•
조선 물산 장려회
•
북천가(北遷歌)
•
아큐정전(阿Q正傳)
•
헤이그 특사 사건
•
아르항가이 주
•
한중록(閑中錄)
•
지안 시(集安市)
•
고대 소설(古代小說)
•
농부가(農夫歌)
▣
윤필상 (尹弼商)
바로가기
[1427 ~ 1504] 조선 초기의 문신. 1504년 갑자사화 때, 앞서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폐위를 막지 못했다는 죄로 진도에 유배되어 사약을 받고 죽었다.
인물
:
인물 > 한국
[1427 ~ 1504] 조선 초기의 문신.
1447년(세종 2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50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455년
(세조 즉위)에 호조좌랑에 원종 공신 2등에 오르고 서연관이 되었다.
1467년
'
이시애의 난
' 때 왕명을 신속히 처리하여 우참찬에 올랐으며, 1471년(성종 2년)에는 우찬성으로서 심한 가뭄으로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1477년 좌찬성으로 명나라에 다녀오는 도중 건주위 야인들의 정세를 자세히 살펴 보고하고, 이듬해 우의정을 거쳐 1484년에 영의정 이 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앞서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폐위를 막지 못했다는 죄로 진도에 유배되어 사약을 받고 죽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윤필상
(尹弼商)
1427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1504년
1467년
1455년
1467
이시애의 난
4대 사화
(四大士禍)
적개 공신
사화
(士禍)
반란
(叛亂)
1417
이시애
(李施愛)
1417
강효문
(康孝文)
1434
허종
(許琮)
1441
남이
(南怡)
1445
임사홍
(任士洪)
1450
정여창
(鄭汝昌)
1454
김굉필
(金宏弼)
1455
조선 세조
(世祖)
1494
조선 연산군
(燕山君)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
정해서정(丁亥西征)
•
조선 성종(成宗)
•
1492년
•
파평 윤씨(坡平尹氏)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윤필상과 삼림
근/현대 수필
김동인
(5)
이목의 직
근/현대 수필
김동인
(3)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