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4일 (일)
(음 4월 7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이태준(李泰俊)
•
박태원(朴泰遠)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
이명선(李明善)
•
조선문학가동맹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이효석(李孝石)
•
날개(-)
•
김기림(金起林)
•
무진기행(霧津紀行)
•
사미인곡(思美人曲)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시경(詩經)
•
이광수(李光洙)
•
노자영(盧子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채만식(蔡萬植)
•
난중일기(亂中日記)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윤자운 (尹子雲)
바로가기
[1416 ~ 1478]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낙한재(樂閒齋)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1467년에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였다.
인물
:
인물 > 한국
[1416 ~ 1478]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낙한재(樂閒齋)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1444년에 문과에 급제, 1450년(문종 즉위)에 집현전 부수찬으로 수사관이 되어
정인지
등과 《
고려사
》 편찬에 참여하였다.
1460년(세조 6년)에 도승지로서 신숙주와 함께 야인을 토벌하고, 여러 도의 도순찰사를 지냈다.
1467년에 '
이시애의 난
'을 진압하였으며, 1470년(성종 1년) 영의정에 오르고, 이듬해 좌리 공신 1등으로 무송 부원군에 봉해졌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윤자운
(尹子雲)
1416
반란
(叛亂)
1467년
918
고려
(高麗)
1396
정인지
(鄭麟趾)
1337
정도전
(鄭道傳)
1363
권우
(權遇)
1377
안지
(安止)
정현조
(鄭顯祖)
1417
신숙주
(申叔舟)
1417
이시애
(李施愛)
1417
강효문
(康孝文)
1418
성삼문
(成三問)
1434
허종
(許琮)
1441
남이
(南怡)
1455
조선 세조
(世祖)
훈구파
(勳舊派)
고려사
(高麗史)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447
용비어천가
1467
이시애의 난
•
예종(睿宗)
•
조선 성종(成宗)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