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8월 19일 (화)
(음 윤6월 26일, 庚申)
집계기준 : 2025년 8월 1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탁류(濁流)
•
호랑이(虎)
•
김창집(金昌集)
•
대한 민국(大韓民國)
•
바빌로니아 왕국
•
대월(大越)
•
홍성군(洪城郡)
•
이집트 문명
•
대구월(大瞿越)
•
신바빌로니아
•
만분가(萬憤歌)
•
여씨춘추(呂氏春秋)
•
정읍사(井邑詞)
•
아카드 시대
•
유기 화학 공업
•
갈사왕(曷思王)
•
단편 소설(短篇小說)
•
아이유브 왕조
•
교회의 대분열
•
부여(夫餘)
▣
육십령 (六十嶺)
바로가기
경상 남도 함양군 서상면과 전라 북도 장수군 계내면 사이에 있는 고개. 육십현, 또는 육복치라고도 하며, 높이는 734m이다.
지역
:
지역 > 한국
경상 남도 함양군 서상면과 전라 북도 장수군 계내면 사이에 있는 고개. 육십현, 또는 육복치라고도 하며, 높이는 734m이다.
신라 때부터의 요충지로, 옛날에 이 재를 넘으려면 60명 이상의 도둑을 만나게 된다 하여 이 이름이 붙여졌다.
[숨기기]
육십령
(六十嶺)
경상 남도 함양군 서상면과
전라 북도 장수군 계내면 사이에 있는 고개.
육십현, 또는 육복치라고도 하며,
높이는 734m이다.
신라 때부터의 요충지로,
옛날에 이 재를 넘으려면 60명 이상의 도둑을 만나게 된다 하여
이 이름이 붙여졌다.
◈ 지식지도
관계
육십령
(六十嶺)
•
소백 산맥(小白山脈)
•
팔량치(八良峙)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