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8일 (목)
(음 4월 11일, 丁丑)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만세전(萬歲前)
•
난중일기(亂中日記)
•
날개(-)
•
동파키스탄(東Pakistan)
•
달밤( )
•
현대문학(現代文學)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유몽인(柳夢寅)
•
임실군(任實郡)
•
아르항가이 주
•
을지전망대
•
노자영(盧子泳)
•
탁류(濁流)
•
정지용(鄭芝溶)
•
이태준(李泰俊)
•
주생전(周生傳)
•
고대 수필(古代隨筆)
•
염상섭(廉想涉)
▣
월정사 적멸보궁 (月精寺寂滅寶宮)
바로가기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28호)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월정사에 속한 법당. 신라 선덕 여왕 때 당나라에 가서 불경을 연구하고 돌아온 자장 율사가 세운 것이라 전한다.
문화/자연유산
:
유적 > 건축 > 불교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월정사에 속한 법당.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28호이다. 신라 선덕 여왕 때 당나라에 가서 불경을 연구하고 돌아온 자장 율사가 세운 것이라 전한다.
앞면 3칸, 옆면 3칸이고, 네 귀에는 모두 추녀를 달아서 지은 팔작지붕에 촛가지가 둘로 된 이익공집이다.
건물의 구조는 단순하여, 앞쪽 중앙 칸에는 두 짝의 판장문을 달고 그 왼쪽과 오른쪽에 중방을 설치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월정사 적멸보궁
(月精寺寂滅寶宮)
평창군
(平昌郡)
오대산
(五臺山)
적멸 보궁
절
(寺)
대한불교 조계종
진신사리
정암사
(淨巖寺)
914
용연사
(龍淵寺)
자장
(慈藏)
1455
조선 세조
(世祖)
1544
유정
(惟政)
15c초
신미
(信眉)
643
월정사
(月精寺)
법흥사
(法興寺)
646
통도사
(通度寺)
봉정암
(鳳頂庵)
월정사 석조보살 좌상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