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일 (목)
(음 6월 9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날개(-)
•
이상(李箱)
•
태평천하(太平天下)
•
무진기행(霧津紀行)
•
행주 산성(幸州山城)
•
칠언 율시(七言律詩)
•
옥소전(玉簫傳)
•
수종사(水鍾寺)
•
기자(箕子)
•
운수 좋은 날
•
흥보가(興甫歌)
•
오발탄(誤發彈)
•
김유정(金裕貞)
•
소설(小說)
•
도솔가(兜率歌)
•
중용(中庸)
•
설원(說苑)
•
김소월(金素月)
•
계용묵(桂鎔默)
•
고유섭(高裕燮)
▣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바로가기
[10권 5책, 125장(章)] 조선 왕조 건국의 사적(事蹟)을 기려 지은 악장(樂章).
작품
:
작품 > 음악.무용
[10권 5책, 125장(章)] 조선 왕조 건국의 사적(事蹟)을 기려 지은 악장(樂章).
10권 5책, 125장(章)으로 된 것으로 대체로 각 사적의 기술에 앞서 우리말 노래를 먼저 싣고, 그에 대한 한역시(漢譯詩)를 뒤에 붙였다.
세종
때에
권제
,
안지
,
정인지
등이 왕명을 받들어 목조로부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태종에 걸친 6대 사이의 조선 건국을, 주로 중국 고사(故事)에 비유 칭송하여 지은 것이다.
이 노래는 한글로 씌어진 최초의 것이므로 어학상 또는 문학상 귀중한 자료가 된다.
[숨기기]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조선 왕조 건국의 사적(事蹟)을 기려 지은
악장(樂章)
10권 5책, 125장(章)
세종
때에
권제
,
안지
,
정인지
등
이 노래는 한글로 씌어진 최초의 것
어학상 또는 문학상 귀중한 자료
◈ 지식지도
관계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1447
고전 문학
(古典文學)
악장
(樂章)
1433
혼천의
(渾天儀)
가사
(歌辭)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고려 가요
(高麗歌謠)
물시계
(--時計)
시조
(時調)
한국 문학
(韓國文學)
향가
(鄕歌)
고대 가요
(古代歌謠)
1392
조선
(朝鮮)
1443년
1420년
1377
안지
(安止)
1387
권제
(權踶)
1396
정인지
(鄭麟趾)
1418
조선 세종
(世宗)
1337
정도전
(鄭道傳)
1352
권근
(權近)
1360
맹사성
(孟思誠)
1363
황희
(黃喜)
1375
심온
(沈溫)
1378
박연
(朴堧)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400
조선 태종
(太宗)
1403
황보인
(皇甫仁)
1416
권람
(權擥)
1417
신숙주
(申叔舟)
1418
성삼문
(成三問)
정현조
(鄭顯祖)
1526
정탁
(鄭琢)
15C초
장영실
(蔣英實)
1420
집현전
(集賢殿)
1443
정음청
(正音廳)
관습 도감
(慣習都監)
훈구파
(勳舊派)
1393
납씨가
(納氏歌)
1425
화산별곡
(華山別曲)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상대별곡
(霜臺別曲)
정동방곡
(靖東方曲)
신도가
(新都歌)
1449
월인천강지곡
1454
세종실록
(世宗實錄)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영녕릉
(英寧陵)
•
최항(崔恒)
•
강희안(姜希顔)
•
1445년
•
1447년
•
고체(古體)
•
봉래의(鳳來儀)
•
여민락(與民樂)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악장
권제, 안지, 정인지 등
(2210)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악장
2019.06.23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학습】
한글(훈민정음)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장편 영웅 서사시)으로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15 (+1)
|
악장
,
용비어천가
,
1445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