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21일 (월) (음 3월 24일, 庚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예기 (禮記)
오경(五經)의 하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기술한 책이다.
예기 (禮記) 오경(五經)의 하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기술한 책이다. 주례(周禮)》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三禮) 《의례》가 예(禮)의 경문(經文)이라고 하면 《예기》는 그 해설서라고 할 수 있다. 주(周)나라 말부터 진한대(秦漢代)에 걸쳐 여러 유학자들이 고대의 예(禮)에 관한 것을 편찬한 것 이 책의 성립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공자가 예에 대해 가르치고 체계화한 것을 제자들이 정리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나라 때에는 약 200여편의 예설(禮設)이 있었으나, 대덕(戴德)은 85편으로 만들고, 대성(戴聖)은 49편으로 만들었다. 대덕이 만든 것을 대대례기(大戴禮記)라 하고 대성이 만든 것을 소대례기(小戴禮記)라고 한다.
◈ 지식지도 관계
예기 (禮記) 오경 (五經) 사서 (四書) 유교 (儒敎) -1055 (魯) 1304년 1294년 1296년 1299년 1288년 1270년 1275년 1260년 918 고려 (高麗) 1243 안향 (安珦) -551 공자 (孔子) b.c. 12c 주공 단 (周公旦) 백원항 (白元恒) 1211 유경 (柳璥) 1220 안부 (安孚) 1233 이존비 (李尊庇) 1244 이진 (李瑱) 1247 백이정 (白頤正) 1262 권부 (權溥) 1263 우탁 (禹倬) 1265 안우기 (安于器) 1269 이조년 (李兆年) 1274 충렬왕 (忠烈王) 1289 신천 (辛蕆) 1650 임강서원 주례 (周禮) 유교 경전 의례 (儀禮) 춘추공양전 논어 (論語) 대학 (大學) 서경 (書經) 시경 (詩經) 역경 (易經) 주역 (周易) 중용 (中庸) 춘추 (春秋) 효경 (孝經) 맹자 (孟子) 춘추좌전 (春秋左傳) 이아 (爾雅) 춘추곡량전 안자묘 (安子廟) 1543 소수 서원 (紹修書院)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예기 禮記 인문/사회과학 (593) 대대례기 大戴禮記 인문/사회과학 대덕(戴德) (92)
◈ 참조 원문/전문
주례 周禮 인문/사회과학 주공 단(周公 旦) (122) 중용 中庸 인문/사회과학 (62) 의례 儀禮 인문/사회과학 (37)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