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일 (목)
(음 6월 9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날개(-)
•
이상(李箱)
•
태평천하(太平天下)
•
칠언 율시(七言律詩)
•
김동인(金東仁)
•
김유정(金裕貞)
•
주역(周易)
•
한시(漢詩)
•
무진기행(霧津紀行)
•
행주 산성(幸州山城)
•
기자(箕子)
•
한림별곡(翰林別曲)
•
운수 좋은 날
•
흥보가(興甫歌)
•
수종사(水鍾寺)
•
옥소전(玉簫傳)
•
오발탄(誤發彈)
•
1925년
•
난설헌집(蘭雪軒集)
•
만세전(萬歲前)
▣
양반전 (兩班傳)
바로가기
조선 영조와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한문 소설. 몰락하는 양반의 한심함과 무능력을 주제 로 하여 상민 계급에 대한 양반들의 착취와 상민들의 양반 에 대한 부러움을 꼬집어 나타낸 작품이다. 박지원의 저서인 《연암집(燕巖集)》 ‘외전(外傳)’에 실려 전한다.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소설
조선 영조와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
이 지은 한문 소설.
몰락하는 양반의 한심함과 무능력을 주제 로 하여 상민 계급에 대한 양반들의 착취와 상민들의 양반 에 대한 부러움을 꼬집어 나타낸 작품이다.
박지원의 저서인 《
연암집(燕巖集)
》 ‘외전(外傳)’에 실려 전한다.
[숨기기]
양반전
(兩班傳)
조선시대 한문 소설.
조선 영조와 정조 때
박지원(朴趾源)
《
연암집(燕巖集)
》 ‘외전(外傳)’에 수록
◈ 지식지도
관계
양반전
(兩班傳)
고전 문학
(古典文學)
고대 소설
(古代小說)
한문 소설
가정 소설
군담 소설
(軍談小說)
근대 소설
(近代小說)
북학파
(北學派)
신소설
(新小說)
실학
(實學)
현대 소설
(現代小說)
1780년
1737
박지원
(朴趾源)
1435
김시습
(金時習)
1549
임제
(林梯)
1703
박사유
(朴師愈)
1725
박명원
(朴明源)
1741
이덕무
(李德懋)
1749
유득공
(柳得恭)
1750
박제가
(朴齊家)
1754
이서구
(李書九)
1780
박종채
(朴宗采)
1807
박규수
(朴珪壽)
1821
박선수
(朴瑄壽)
연암집
(燕巖集)
허생전
(許生傳)
호질
(虎叱)
금오신화
(金鰲新話)
사씨남정기
심청전
(沈淸傳)
원생몽유록
유충렬전
(劉忠烈傳)
임진록
(壬辰錄)
장끼전
(----傳)
최고운전
(崔孤雲傳)
춘향전
(春香傳)
홍길동전
(洪吉童傳)
예덕선생전
민옹전
(閔翁傳)
과농소초
(課農小抄)
1780
열하일기
(熱河日記)
•
마장전(馬駔傳)
•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양반전
兩班傳
고전 소설
박지원(朴趾源)
(675)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