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4일 (수)
(음 4월 17일, 癸未 )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날개(-)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메밀꽃 필 무렵
•
심청가(沈淸歌)
•
홍길동전(洪吉童傳)
•
현대문학(現代文學)
•
조용조(租庸調)
•
이태준(李泰俊)
•
소설(小說)
•
북천가(北遷歌)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시경(詩經)
•
앞산타령(--山打令)
•
사랑 손님과 어머니
•
민옹전(閔翁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신흠 (申欽)
바로가기
[1566 ~ 1628]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 호는 상촌(象村) 또는 현헌(玄軒)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저서로는 《상촌집》 《야언구정록》 《산중독언》 등이 있다.
인물
:
인물 > 한국
[1566 ~ 1628]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 호는 상촌(象村) 또는 현헌(玄軒)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1586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감찰, 병조 좌랑 등에 올랐다. 임진왜란 때에 양재도찰방으로
신립
을 따라
조령 전투
에 참가했다. 그 뒤 도승지, 병조 판서, 대사헌의 벼슬을 지냈다.
선조로부터
영창 대군
을 잘 보살피라는 부탁을 받았으나,
계축옥사
가 일어나자 벼슬에서 쫓겨나 춘천으로 귀양갔다.
1621년
에
인조
가 왕위에 오르자 이조 판서, 우의정, 좌의정 에 올랐다.
정묘호란
이 일어나자 세자를 전주에 피신시키고 돌아와 영의정에 올랐다.
학문으로 이름이 높았고,
장유
,
이식
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대가로 일컬어지며, 또 글씨에도 뛰어났다.
저서로는 《
상촌집
》 《야언구정록》 《산중독언》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신흠
(申欽)
1566
1588
신익성
(申翊聖)
1605
신익전
(申翊全)
1570
신감
(申鑑)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성리학
(性理學)
양명학
(陽明學)
여진족
(女眞族)
대북파
(大北派)
1575
서인
(西人)
1591
남인
(南人)
1602
소북파
(小北派)
1621년
17세기
(17世紀)
1636년
1620년
1622년
1623년
1624년
1626년
1627년
1628년
1629년
1614년
1583년
1620년대
1616
후금
(後金)
1546
신립
(申砬)
1584
이식
(李植)
1588
장유
(張維)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23
인조
(仁祖)
1547
이원익
(李元翼)
1548
김장생
(金長生)
1555
의인왕후
(懿仁王后)
1556
이항복
(李恒福)
1561
이덕형
(李德馨)
1562
김제남
(金悌男)
1567
선조
(宣祖)
1570
김상헌
(金尙憲)
1571
김류
(金瑬)
1576
모문룡
(毛文龍)
1577
이입
(李立)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601
김자점
(金自點)
1606
송준길
(宋浚吉)
1607
송시열
(宋時烈)
1608
광해군
(光海君)
1612
소현 세자
(昭顯世子)
1619
봉림 대군
(鳳林大君)
1649
효종
(孝宗)
상촌집
(象村集)
인조실록
(仁祖實錄)
1613
계축옥사
(癸丑獄事)
1592
탄금대 전투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미정의)
조령전투
•
이정구(李廷龜)
•
최명길(崔鳴吉)
•
최기남(崔奇男)
•
신경(申炅)
•
방옹시여(放翁詩餘)
•
청서(淸西)
•
풍월향도(風月香徒)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방옹시여
放翁詩餘
시조
신흠
(153)
광한루기
廣寒樓記
기록물(기타)
象村 申欽
(7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