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1일 (목)
(음 윤6월 7일, 辛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이용악(李庸岳)
•
1770년대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당 중종(唐 中宗)
•
사기(史記)
•
청구영언(靑丘永言)
•
1519년
•
메밀꽃 필 무렵
•
황석우(黃錫禹)
•
허베이성([河北]省)
•
최항(崔恒)
•
광대가(廣大歌)
•
여수시(麗水市)
•
조신 설화(調信說話)
•
명심보감(明心寶鑑)
•
가사(歌辭)
•
난중일기(亂中日記)
•
삼한습유(三韓拾遺)
•
한자교육(漢字敎育)
▣
시헌력 (時憲曆)
바로가기
태음력의 구법(舊法)에 태양력의 원리를 부합시켜 24 절기의 시각과 하루의 시각을 정밀히 계산하여 만든 역법의 한 가지. 중국 명나라 숭정(崇禎) 초에 독일 인 선교사 탕약망( 아담 샬)이 만들었다.
지식
:
사회과학 > 문화.풍속.민속
태음력의 구법(舊法)에 태양력의 원리를 부합시켜 24 절기의 시각과 하루의 시각을 정밀히 계산하여 만든
역법
의 한 가지. 중국 명나라 숭정(崇禎) 초에 독일인 선교사 탕약망(
아담 샬
)이 만들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644년
(조선 인조 22년)에
김육
이 중국의 연경(베이징)에서 여러 가지 서적을 가지고 와서
1653년
(효종 4년)부터 사용하였다.
[숨기기]
시헌력
(時憲曆)
태음력의 구법(舊法)에 태양력의 원리를 부합시켜
24 절기의 시각과 하루의 시각을 계산하여 만든 역법의 한 가지.
중국 명나라 숭정(崇禎) 초에 독일인 선교사
탕약망(아담 샬)
이 만들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1644년(조선 인조 22년)에
김육
이 중국의 연경(베이징)에서 여러 가지 서적을 가지고 와서
1653년(효종 4년)부터 사용하였다.
◈ 지식지도
관계
시헌력
(時憲曆)
역법
(曆法)
대동법
(大同法)
대통력
(大統曆)
성리학
(性理學)
실학
(實學)
태양력
(太陽曆)
태음 태양력
태음력
(太陰曆)
1281
수시력
(授時歷)
1653년
1644년
1622년
1580
김육
(金堉)
1591
요한 아담 샬 폰 벨
1533
윤두수
(尹斗壽)
1535
성혼
(成渾)
1537
윤근수
(尹根壽)
1545
조호익
(曺好益)
1548
김장생
(金長生)
1552
마테오 리치
1570
김상헌
(金尙憲)
1612
소현 세자
(昭顯世子)
1616
김좌명
(金佐明)
1622
유형원
(柳馨遠)
1634
김석주
(金錫胄)
인조실록
(仁祖實錄)
칠정산
(七政算)
숭양 서원
•
홍주원(洪柱元)
•
1652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