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0일 (토)
(음 4월 13일, 己卯)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동몽선습(童蒙先習)
•
백련초해(百聯抄解)
•
이상(李箱)
•
네르친스크 조약
•
진경 산수화
•
장수도마뱀(將帥------)
•
성삼문(成三問)
•
난중일기(亂中日記)
•
태평천하(太平天下)
•
봄봄( )
•
논어집주(論語集註)
•
천변풍경(川邊風景)
•
옥소전(玉簫傳)
•
1520년
•
유몽인(柳夢寅)
•
별건곤(別乾坤)
•
홍루몽(紅樓夢)
•
중앙선 폐철도 노선
•
자경별곡(自警別曲)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성선설 (性善說)
바로가기
중국 전국 시대의 맹자(孟子)가 주장한 학설.
지식
:
종교 > 유교 > 04
중국 전국 시대의
맹자(孟子)
가 주장한 학설.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는 학설이다.
타고난 착한 성품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어서 나쁜 환경에 두면 나빠지게 되므로, 항상 착한 마음을 계속 키워 나가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맹자의 이 성선설은 유교의 중심 사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랜 동안 정치 이념의 근거가 되어 발전하였다.
[숨기기]
성선설
(性善說)
유교
맹자
(孟子)
중국 전국 시대의
맹자(孟子)
가 주장한 학설.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
<->
성악설
(
순자
)
◈ 지식지도
관계
성선설
(性善說)
성악설
(性惡說)
유교
(儒敎)
덕치주의
도가
(道家)
성리학
(性理學)
왕도 정치
유가
(儒家)
제자 백가
(諸子百家)
중국 철학
992년
372년
285년
-315
순자
(荀子)
-372
맹자
(孟子)
-179
동중서
(董仲舒)
-483
자사
(子思)
-505
증자
(曾子)
-521
안회
(顔回)
-551
공자
(孔子)
B.C. 1C말
이사
(李斯)
한비자
(韓非子)
1011
소옹
(邵雍)
1017
주돈이
(周敦燎)
1020
장재
(張載)
1032
정호
(程顥)
1033
정이
(程伊)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472
왕양명
(王陽明)
1501
이황
(李滉)
1536
이이
(李珥)
4C
왕인
(王仁)
857
최치원
(崔致遠)
984
최충
(崔沖)
국자감
(國子監)
태학
(太學)
사서 삼경
(四書三經)
유교 경전
맹자
(孟子)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맹자(1)
제1장 양혜왕 상 (梁惠王 上)
인문/사회과학
맹자(孟子)
(702)
맹자 고자 상(1)
맹자 고자 상
인문/사회과학
맹자(孟子)
(57)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