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4일 (일) (음 4월 7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성균관 (成均館)
고려 이래 갑오개혁 때까지의 국내 최고의 교육 기관.
◈ 지식지도 관계
성균관 (成均館) 석전 (釋奠) 향교 (鄕校) 국자학 (國子學) 사문학 (四門學) 서원 (書院) 유교 (儒敎) 1894 동학 운동 (東學運動) 1894 김홍집 내각 1895 홍범 14조 서울 문묘 (--文廟) 1894년 1351 공민왕 (恭愍王) 1294 충숙왕 (忠肅王) 1315 노국 대장 공주 1321 신돈 (辛旽) 1348 충정왕 (忠定王) 1375 우왕 (禑王) 14c초 기철 (奇轍) 국자감 (國子監) 태학 (太學) 향학 (鄕學) 함평 향교 (咸平鄕校) 용궁향교 (龍宮鄕校) 동래향교 1258 쌍성총관부 1394 황간향교 1398 흥해 향교 1398 예천향교 1400 의정부 (議政府) 1407 평해향교 1411 양천 향교 (陽川鄕校) 1420 남평 향교 1773 지평향교 1894 군국 기무처 1894 궁내부 (宮內府) 1969 국립 현대 미술관 천산대렵도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1884 갑신정변 (甲申政變) 1895 을미개혁 (乙未改革) 1127 교동 향교 (喬桐鄕校) 1397 남양 향교 1398 과천향교 (果川鄕校) 1410 남원 향교 1413 임실향교 (任實鄕校) 1414 부안향교 1415 단양 향교 1437 함열향교 (咸悅鄕校) (미정의) 성균관대학교
 
◈ 최근등록순
2024.11.08
조선의 교육기관(성균관 2)
【문화】 오늘은 대성전 구역에 이어 조선시대 고등 교육기관인 명륜당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2024.11.05
조선의 교육기관(성균관 1)
【문화】 오늘 조선시대 고등 교육기관인 성균관(성균은 널리 인재를 고루 양성한다는 뜻)을 알아보기 전에 삼국시대부터 교육기관에 대하여 먼저 알아봅니다.
2024.07.25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수리공사 중 1602년 상량묵서 발견
【문화】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종로구청(구청장 정문헌)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의 지붕보수 공사 중에 1602년에 기록된 상량묵서를 발견하였다.【수리기술과】
2024.04.23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등 궁금했던 국가유산 수리현장 직접 본다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5월 17일 ‘국가유산청’ 출범과 국가유산 체계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5월 한 달간 전국 31개소의 국가유산 수리현장을 ‘특별 공개’한다.【수리기술과】
2019.10.21
【정치】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상춘재에서 오늘 12시부터 14시까지 종교지도자 오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간담회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8.11.07
노랗게 물든 500년 된 은행나무
【--】 서울의 유명한 은행나무가 있는 성균관(成均館)에 다녀왔다. 서울 성균관은 1398년(태조 7)에 세워진 유일한 국립 대학(國立大學)으로 국가 엘리트의 양성소였다. 문묘(文廟)는 공자(孔子, BC 551~ BC 479)를 모시는 사당으로 보물 제141호(대성전, 명륜당, 삼문, 동무, 서무)로 지정되어있다. 문묘의 정전인 대성전(大成殿)은 공자와 제자, 성현 등을 모신 제사 공간이며, 명륜당(明倫堂)은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던 곳이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