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8월 23일 (토)
(음 7월 1일, 甲子)
집계기준 : 2025년 8월 1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박영(朴英)
•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
루 쉰([魯迅])
•
이매창(李梅窓)
•
블라디보스토크
•
정지용(鄭芝溶)
•
동양척식주식회사
•
은애전(銀愛傳)
•
당의(唐衣)
•
조선 고종(高宗)
•
한복(韓服)
•
조선 물산 장려회
•
지안 시(集安市)
•
헤이그 특사 사건
•
북천가(北遷歌)
•
아큐정전(阿Q正傳)
•
아르항가이 주
•
한중록(閑中錄)
•
조선 총독부
•
해식 동굴(海蝕洞窟)
▣
민담 (民譚)
바로가기
예로부터 백성들 사이에서 말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민간 설화라고도 한다.
지식
:
어학 > 문학
예로부터 백성들 사이에서 말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민간 설화라고도 한다.
민속학에서는 민담을 신화 · 전설· 동화의 세 종류로 나누고 있으며, 야담·일화·우화 등도 포함된다. 지은이와 지은 때도 모르게 대대로 전해 내려오면서 변하고 다듬어져 하나의 민속 문학으로 자리잡고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민담
(民譚)
•
해와 달이 된 오누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조선민담의 세계적 배경
근/현대 수필
최남선
(11)
조선민담의 양대장격인 범과 도깨비
근/현대 수필
최남선
(2)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