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숙향전(淑香傳)
•
시경(詩經)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서울 특별시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순신(李舜臣)
•
이상(李箱)
•
조용조(租庸調)
•
만복사저포기
•
혜경궁 홍씨
•
날개(-)
•
오륜가(五倫歌)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상춘곡(賞春曲)
•
황석우(黃錫禹)
•
강원도(江原道)
▣
문무왕 (文武王)
바로가기
[? ~ 681] 신라의 제30대 왕(재위 661~681년). 이름은 법민(法敏)이며, 태종 무열왕의 맏아들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 ~ 681] 신라의 제30대 왕(재위 661~681년). 이름은 법민(法敏)이며,
태종 무열왕
의 맏아들이다.
661년에 왕위에 오르자, 삼국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무열왕의 뜻을 이어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 제1차 정벌에는 실패하였으나, 668년에 다시
나·당 연합군
으로 공격하여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677년
에는 백제,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하려는 당나라 세력을 대동강 이북으로 몰아 내고 삼국 통일을 끝내 이루었다.
뒤에 당나라의 제도와 문물을 들여와 국가 발전의 기틀을 다지는 데도 힘썼다.
왕은 왜구의 침입을 막아 나라를 지키겠다는 염원에서 유언으로 자신의 유골을 동해에 묻게 하였다고 한다.
1967년에 경북 경주군
감은사
절터 앞바다에 있는
대왕암
이 문무왕의 해중 왕릉임이 밝혀졌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문무왕
(文武王)
661
654
태종 무열왕
681
신문왕
(神文王)
문명 왕후
(文明王后)
629
김인문
(金仁問)
나·당 연합군
대한민국 사적
(史蹟)
절
(寺)
화엄종
(華嚴宗)
문희매몽 설화
경주시
(慶州市)
대구 광역시
백제
(百濟)
신라
(新羅)
677년
618
당
(唐)
고구려
(高句麗)
7세기
670년대
927년
670년
671년
672년
673년
674년
675년
676년
678년
679년
660년
651년
656년
592
소정방
(蘇定方)
595
김유신
(金庾信)
613
설인귀
(薛仁貴)
615
김문왕
(金文王)
625
의상
(義湘)
647
진덕 여왕
(眞德女王)
요석 공주
(瑤石公主)
김서현
(金舒玄)
692
효소왕
(孝昭王)
877
신숭겸
(申崇謙)
900
견훤
(甄萱)
918
고려 태조
(太祖)
924
경애왕
미리사
(美里寺)
682
국학
(國學)
문무 대왕릉
•
화랑도(花郞徒)
•
보장왕(寶藏王)
•
682년
•
661년
•
대왕암 공원
•
웅진 도독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삼국유사 기이편 문호왕법민
三國遺事 紀異篇 文虎王法敏
한국역사
일연
(4)
바다의 전설
근/현대 소설
차상찬
(1)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상
三國史記 新羅本紀 文武王 上
한국역사
김부식
(1)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하
三國史記 新羅本紀 文武王 下
김부식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