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7월 30일 (수) (음 윤6월 6일, 庚子)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무경칠서 (武經七書)
중국의 일곱 종류의 병서. 무학칠서 또는 칠서라고도 한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내용보기]  
무경칠서 (武經七書) 중국의 일곱 종류의 병서. 무학칠서 또는 칠서라고도 한다. 주나라 때 손무가 지은 《손자》, 전국 시대 때 위나라 오기가 지은 《오자》, 제나라 때 사마양저가 지은 《사마법》, 주나라 때 위료가 지은 《이위공문대》, 한나라 때 황석공의 《삼략》, 주나라 여망의 《위료자》, 당나라 때 이정이 지은 《육도》를 가르치는 말 송나라 원풍연간(1078~1085년)에 걸쳐서 병서를 병법에 대한 학문이라고 정하여 칠서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 지식지도 관계
무경칠서 (武經七書) 황석공 (黄石公) 손자 (孫子) -544 합려 (闔閭) 강상 (姜尙) 삼략 (三略) 육도 (六韜) 육도 삼략 (미정의) 사마법 (미정의) 오자 (미정의) 위료자 (미정의) 이위공문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육도 六韜 인문/사회과학 태공망 (93) 손자병법 孫子兵法 인문/사회과학 손무 (孫武) (87) 삼략 三略 인문/사회과학 (44) 위료자 尉繚子 인문/사회과학 울요(尉繚) (10) 사마법 司馬法 인문/사회과학 사마양저(司馬穰苴) (6) 오자 吳子 인문/사회과학 오기 (吳起) (4)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