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1일 (목)
(음 윤6월 7일, 辛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메밀꽃 필 무렵
•
이용악(李庸岳)
•
1770년대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사기(史記)
•
청구영언(靑丘永言)
•
1519년
•
황석우(黃錫禹)
•
여수시(麗水市)
•
광대가(廣大歌)
•
허베이성([河北]省)
•
조신 설화(調信說話)
•
당 중종(唐 中宗)
•
보광사(普光寺)
•
명심보감(明心寶鑑)
•
난중일기(亂中日記)
•
가사(歌辭)
•
한자교육(漢字敎育)
•
삼한습유(三韓拾遺)
▣
명 (明)
바로가기
[
지도보기
]
몽고족이 세운 원나라 왕조를 몰아 내고 세운 한족(漢族)의 왕조(1368~1644년).
지역
:
지역 > 외국 > 나라
몽고족이 세운
원
나라 왕조를 몰아 내고 세운 한족(漢族)의 왕조(1368~1644년).
원나라 말엽
홍건적
에서 두각을 나타낸
주원장(朱元璋)
이
1368년
에 금릉(지금의 난징)에서 황제의 자리에 올라(태조 : 홍무제) 국호를 명(明)이라 하고 전국을 통일하였다. 태조는 통치 기구를 정비한 다음, 황제의 전제 권력을 강화하였다.
영락제(성조)
때에는 도읍을 베이징(北京)으로 옮기고 명나라의 기초를 확립하여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중기 이후부터 환관이 날뛰고 정치가 문란해졌으며, 당쟁과 지방 농민의 잦은 반란에다 몽고와 왜구로부터 시달림까지 받아 마침내
이자성
(李自成)이 이끄는 농민 반란이 확대되어 명나라 왕조는 멸망하고
청
나라가 들어섰다.
[숨기기]
명
(明)
몽고족이 세운
원나라
왕조를 몰아 내고 세운 한족(漢族)의 왕조(1368~1644년).
원나라 말엽
홍건적
에서 두각을 나타낸 주원장(朱元璋)이
1368년에 금릉(지금의 난징)에서 황제의 자리에 올라(태조 : 홍무제)
국호를 명(明)이라 하고 전국을 통일하였다.
태조는 통치 기구를 정비한 다음, 황제의 전제 권력을 강화하였다.
영락제
(성조) 때에는 도읍을 베이징(北京)으로 옮기고
명나라의 기초를 확립하여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중기 이후부터 환관이 날뛰고 정치가 문란해졌으며,
당쟁과 지방 농민 의 잦은 반란에다 몽고와 왜구로부터 시달림까지 받아
마침내
이자성(李自成)
이 이끄는 농민 반란이 확대되어
명나라 왕조는 멸망하고
청나라
가 들어섰다.
◈ 지식지도
관계
명
(明)
1368
1260
원
(元)
몽골 제국
(蒙古帝國)
1636
청
(淸)
백련교
(白蓮敎)
1368년
1644년
1399년
1359년
1368
홍무제
(洪武帝)
1402
영락제
(永樂帝)
1606
이자성
(李自成)
1312
이방실
(李芳實)
1312
안우
(安祐)
1312
김득배
(金得培)
1313
정세운
(鄭世雲)
1316
최영
(崔瑩)
1392
조선 태조
(太祖)
1400
건문제
(建文帝)
1400
한확
(韓確)
1424
홍희제
(洪熙帝)
14C초
김용
(金鏞)
1612
오삼계
(吳三桂)
홍건적
(紅巾賊)
1280
정동행성
1359
홍건적의 난
1359
홍건적의 침공
1363
흥왕사의 변
백련교도의 난
1399
정난의 변
(靖難--變)
•
선덕제(宣德帝)
•
정통제(正統帝)
•
경태제(景泰帝)
•
성화제(成化帝)
•
홍치제(弘治帝)
•
정덕제(正德帝)
•
가정제(嘉靖帝)
•
진린(陳璘)
•
만력제(萬曆帝)
•
융경제(隆慶帝)
•
이지조(李之藻)
•
모문룡(毛文龍)
•
태창제(泰昌帝)
•
임진왜란(壬辰倭亂)
•
정유재란(丁酉再亂)
•
후금(後金)
•
누르하치([奴兒哈赤], , Nurhachi)
•
천계제(天啓帝)
•
숭정제(崇禎帝)
•
남명(南明)
•
명사(明史)
•
위소(衛所)
•
중국(中國)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요동정벌 문제로 대립한 최영과 이성계 - 영상한국사 (137)
[역사 > 한국역사] (0)
소현세자 부부가 만난 또 다른 세계 - 천주교와 서양과학 - 영상한국사 (203)
[역사 > 한국역사] (0)
광해군, 이빨 빠진 호랑이 ‘명’에 파병을 반대하다 - 영상한국사 (172)
[역사 > 한국역사] (0)
후금의 명 침략과 명의 파병 요청 - 영상한국사 (171)
[역사 > 한국역사] (0)
조선군의 『기효신서』 도입과 훈련도감 설치 - 영상한국사 (150)
[역사 > 한국역사] (0)
왜구는 누구인가 - 영상한국사 (114)
[역사 > 한국역사] (0)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와 최영의 전투 - 영상한국사 (002)
[역사 > 한국역사] (0)
요동정벌과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 영상한국사 (001)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