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대한민국 대통령
•
중용(中庸)
•
무정(無情)
•
베르길리우스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숙향전(淑香傳)
•
이승만(李承晩)
•
안후이성(安徽省)
•
대운하(大運河)
•
반고(班固)
•
서정주(徐廷柱)
•
메밀꽃 필 무렵
•
최은희(崔恩喜)
•
김동리(金東里)
•
삼대(三代)
▣
매화사 (梅花詞)
바로가기
조선 후기 고종 때의 가인(歌人) 주옹 안민영(安玟英)이 55세에 지은 8수의 연시조. 일명 '영매사' 혹은 '영매가'라고도 한다.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시조
조선 후기 고종 때의 가인(歌人) 주옹
안민영(安玟英)
이 55세에 지은 8수의 연시조. 일명 '영매사' 혹은 '영매가'라고도 한다.
1840년
(헌종 6) 이른 봄에 작자가 스승인
박효관(朴孝寬)
의 운애산방(雲崖山房)을 찾아 명기(名妓)들과 더불어 거문고와 노래로 즐기던 중, 마침 방안에 향기를 내뿜으며 떨어지는 매화를 노래했다고 한다. 그의 개인 가집인 《
금옥총부(金玉叢部)
》에 수록되어 있다.
《매화사》는 작자의 많은 시조 작품 중에서도 가장 운치 있는 것으로 꼽히며, 맑고 섬세한 매화의 향기가 잘 묘사된 작품이다.
박효관과 함께 엮은 《
가곡원류(歌曲源流)
》의 여러 이본에도 실려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당시 이 작품이 널리 가창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매화사
(梅花詞)
시조
(時調)
연시조
(連時調)
가사
(歌詞)
가사
(歌辭)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사설 시조
(辭說時調)
세도 정치
(勢道政治)
어부가
(漁父歌)
엇시조
(--時調)
향가
(鄕歌)
1840년
19세기
(19世紀)
1840년대
1885년
1876년
1841년
1842년
1843년
1844년
184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9년
1839년
박효관
(朴孝寬)
1816
안민영
(安玟英)
이세춘
(李世春)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87
윤선도
(尹善道)
1785
임칙서
(林則徐)
1789
순원 왕후
(純元王后)
1820
흥선 대원군
1845
이재면
(李載冕)
1852
나폴레옹 3세
1903
이은상
(李殷相)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1885
금옥총부
강호사시가
고금가곡
(古今歌曲)
고산구곡가
고산유고
(孤山遺稿)
도산십이곡
1580
훈민가
(訓民歌)
1651
어부사시사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840
아편 전쟁
(阿片戰爭)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매화사
梅花詞
시조
안민영 (安玟英)
(256)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