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8월 2일 (토)
(음 윤6월 9일, 癸卯)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신윤복(申潤福)
•
관동 팔경(關東八景)
•
설화(說話)
•
누정(樓亭)
•
구이저우성(貴州省)
•
삼국유사(三國遺事)
•
청구영언(靑丘永言)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고대 소설(古代小說)
•
국립 중앙 박물관
•
호르텐시우스법
•
금강산(金剛山)
•
두껍전(----傳)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정진사전(鄭進士傳)
•
총석정(叢石亭)
•
적벽부(赤壁賦)
•
중편 소설(中篇小說)
•
판소리 단가
•
논어(論語)
▣
동물계 (動物界)
바로가기
자연계 가운데 동물이 차지하는 범위, 또는 세계. 생물계 중 식물계와 상대되는 말이다.
지식
:
자연과학 > 생물학
자연계 가운데 동물이 차지하는 범위, 또는 세계. 생물계 중 식물계와 상대되는 말이다.
동물계는 원생동물문, 해면동물문, 강장동물문, 편형동물문, 선형동물문, 환형동물문, 연체동물문, 절지동물문, 극피동물문, 윤형동물문, 모악동물문, 척추동물문 등의 여러 가지 문(門)으로 나뉜다.
문(門, phylum)
원생동물
해면동물
판형동물
강장동물
(자포동물)
유즐동물
편형동물
중생동물
유형동물
악구동물
윤형동물
복모동물
동문동물
선형동물
유선형동물
구두동물
곡형동물
추형동물
태형동물
완족동물
성구동물
새예동물
연체동물
의충동물
환형동물
오구동물
완보동물
유조동물
절지동물
모악동물
유수동물
반색동물
극피동물
척색(삭)동물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동물계
(動物界)
반색동물
(半索動物)
생물 분류
(生物分類)
오구동물
(五口動物)
유조동물
유즐동물
(有櫛動物)
윤형동물
(輪形動物)
절지동물
(節肢動物)
중생동물
(中生動物)
과
(科)
동물
(動物)
무성 생식
(無性生殖)
미생물
(微生物)
요충
(蟯蟲)
원핵 생물
인위 분류
(人爲分類)
자연 분류
자웅 동체
종
(種)
출아법
(出芽法)
회충
(蛔蟲)
강장동물
(腔腸動物)
극피동물
(棘皮動物)
모악동물
선형동물
(線形動物)
성구동물
(星口動物)
연체동물
(軟體動物)
완보동물
원생동물
(原生動物)
의충동물
척색동물
(脊索動物)
편형동물
해면동물
환형동물
(環形動物)
가리비
거머리
거미 불가사리
곤충
(昆蟲)
굴
균류
(菌類)
꼬막
달팽이
두색동물
(頭索動物)
디스토마
(distoma)
말미잘
무척추동물
문어
(文魚)
바지락
백합
(白蛤)
사상충
(絲狀蟲)
산호
(珊瑚)
석회 해면류
성게
십이지장충
앵무조개
(鸚鵡----)
오징어
원색동물
전복
(全鰒)
지렁이
척추동물
(脊椎動物)
촌충
(寸蟲)
편충
(鞭蟲)
플라나리아
해파리
홍합
(紅蛤)
화살벌레
히드라
(hydra)
(미정의)
곡형동물
(미정의)
구두동물
(미정의)
동문동물
(미정의)
복모동물
(미정의)
새예동물
(미정의)
악구동물
(미정의)
완족동물
(미정의)
유선형동물
(미정의)
유수동물
(미정의)
유형동물
(미정의)
추형동물
(미정의)
태형동물
(미정의)
판형동물
•
계(界)
•
물고기(-)
•
새(-)
•
양서류(兩棲類)
•
원구류(圓口類)
•
파충류(爬蟲類)
•
포유류(哺乳類)
•
포자충(胞子蟲)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